한반도 동쪽 끝 ‘독도’에서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은 종을 포함해 60여 종의 생물들이 처음 발견돼 놀라움을 주고 있다.
독도 전경.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독도 전경. 연합뉴스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은 올해 독도 생물 다양성 연구를 통해 국내 미기록종 4종, 독도 미기록종 54종을 포함해 모두 58종의 새로운 생물을 발견했다고 24일 밝혔다.
지금까지 국내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던 4종의 생물은 모두 무척추동물로 해면치레류, 접시부채게류, 갯가재류, 이랑삿갓조개류 등이다.
이들 중 해면 조각을 등에 짊어지고 다니는 습성을 가진 해면치레류는 게의 일종으로 독도 큰가제바위 수심 20m에 있는 굴 군락과 자갈 바닥에 발견됐다.
이랑삿갓조개류는 길이 약 3mm 정도의 작은 연체동물로 타원형태의 바가지를 엎은 모양과 유사하며 패각 앞부분에 홈이 패어있는 것이 특징이다.
독도 미기록종 54종은 무척추동물인 비단부채게, 홈발딱총새우, 보석말미잘, 벼개멍게 등 43종과 미생물에 속하는 스타필로코커스 스키우리, 스포로사르키나 아퀴마리나 등 11종이다. 독도 미기록종은 환경부나 해양수산부, 문화재청 등 다른 독도조사에서는 발견된 바 없지만 국내 다른 지역에서는 서식한 기록이 있는 종을 말한다.
생물자원관은 독도 생물 다양성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독도의 무척추 동물Ⅱ 대형갑각류’ 도감을 지난달 26일 발간하고 ‘독도의 날’인 25일에 맞춰 국회와 각급 도서관, 연구기관에 배포한다.
백운석 국립생물자원관장은 “내년부터 독도의 생물 다양성에 대한 연구결과를 종합 생물종 목록으로 논문화해 순차적으로 학술지에 발표함으로써 독도에 서식하는 생물이 우리의 생물자원임을 널리 알릴 계획”이라고 말했다.
유용하 기자 edmondy@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