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콤한 사이언스] 5만년 전 구석기시대 한반도 남쪽 거대운석 떨어졌다

[달콤한 사이언스] 5만년 전 구석기시대 한반도 남쪽 거대운석 떨어졌다

유용하 기자
유용하 기자
입력 2020-12-14 21:19
업데이트 2021-05-25 14: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구석기 시대 해당 약 5만년 전 경남지역에 직경 200m 운석 낙하
운석 폭발력은 1400메가톤...히로시마 원폭 500배 규모

5만년 전 한반도 남쪽에 거대운석 떨어졌다
5만년 전 한반도 남쪽에 거대운석 떨어졌다 국내 연구진이 구석기시대인 5만년 전 한반도 남쪽에 거대 운석이 떨어진 흔적을 발견했다.
중생대 지구를 장악했던 거대 동물 공룡들이 한 순간 사라지게 된 것은 백악기 말 화산폭발과 함께 운석충돌이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화산폭발과 운석충돌 때문에 거대한 먼지구름이 지구를 휘감으며 온도를 떨어뜨리고 그로 인한 기후변화 때문에 멸종했다는 설이 유력하다. 공룡의 멸종은 포유류의 등장과 인류의 등장을 가져온 일대 사건이다. 현생 인류가 탄생한 5만년 전쯤 한반도에서도 거대 운석충돌이 있었다는 직접적 증거가 확인됐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국토지질연구본부 지질연구센터 연구팀은 지난 1월부터 경상남도 합천군에 위치한 직경 약 7㎞의 적중-초계분지의 현장조사 및 분석을 실시한 결과 5만년 전 한반도에도 운석이 떨어졌다고 14일 밝혔다. 이 같은 분석결과는 지질학 분야 국제학술지 ‘곤드와나 리서치‘에 실렸다. 구석기 시대에 해당하는 5만년 전 한반도 남부지역에 살았던 구석기인은 엄청난불덩어리가 하늘에서 떨어지는 모습을 관측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경남 적중-초계분지 지역의 모습
경남 적중-초계분지 지역의 모습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제공
적중-초계분지는 한반도 남동쪽에 위치한 약 7㎞ 직경의 그릇모양 지형이다. 운석충돌의 흔적이 여러 차례 발견됐지만 직접적 증거는 찾지 못했다. 연구팀은 분지 내 지역에서 142m 깊이의 시추코어 조사와 탄소연대측정 결과를 통해 적중-초계분지가 운석충돌로 만들어진 운석충돌구라는 사실을 밝혀냈다.

운석이 충돌할 때는 강한 충격파가 발생해 지하에 거대한 웅덩이를 만드는데 충격파의 영향으로 기존 암석과 광물 속에 변화가 발생한다. 연구팀은 적중-초계분지의 퇴적층 분석을 통해 운석충돌에 의한 충격파로 만들어진 미시적 광물변형 증거와 거시적 암석변형을 확인한 것이다. 이 같은 증거는 동아시아 지역에서는 처음 발견된 증거이다. 또 분지의 호수퇴적층 속에서 발견된 숯을 이용한 탄소연대측정 결과 5만년 전 발생한 것으로 추정했다.
적중-초계분지에서 회수한 시추코어 사진
적중-초계분지에서 회수한 시추코어 사진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제공
연구팀은 5만년 전 적중-초계분지 운석충돌구 직경을 4㎞라고 가정할 경우 직경 200m의 운석이 떨어진 것으로 보고 있다. 당시 폭발력은 1400메가톤(MT)에 해당한다. 1MT은 TNT폭탄 100만t을 폭발시켰을 때의 폭발력으로 일본 히로시마에 떨어졌던 원자폭탄의 500배에 해당한다.

연구를 주도한 임재수 지질연 박사는 “이번 연구는 그동안 지질학계의 미스터리로 남아있던 적중-초계분지가 한반도 최초 운석충돌구로 확인했다는데 의미가 크다”라며 “추가 연구를 통해 적중-초계분지의 운석충돌 시기에 대한 정확하고 명확하게 규명할 것”이라고 말했다.

유용하 기자 edmondy@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