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트트랙 한바퀴 덜 탔다

쇼트트랙 한바퀴 덜 탔다

입력 2010-03-25 00:00
수정 2010-03-25 00:5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27바퀴 돌 경기를 26바퀴만 돌았다고?”

쇼트트랙 3000m 슈퍼 파이널은 27바퀴를 돈다. 동계올림픽에는 없고 세계선수권대회에서만 치른다. 쇼트트랙 월드컵 포인트 1위부터 8위까지만 참가할 수 있다. 한 시즌을 정리하는 하이라이트다.

그만큼 중요한 경기다. 그래서 ‘슈퍼 파이널’이다. 그런데 지난 21일 불가리아 소피아에서 끝난 2010 국제빙상경기연맹(ISU) 쇼트트랙 세계선수권대회에서는 26바퀴만 돌았다. 규칙이 바뀐 걸까? 아니다. 정답은 한바퀴 덜 돌았는데 아무도 몰랐다.

당시 선두 J R 셀스키(미국)가 25바퀴째를 돌 때 마지막 바퀴를 알리는 종소리가 울렸다. 경기를 중계한 텔레비전 상으로는 그 소리가 안 들린다. 그러나 현장에선 모두가 종소리를 들었다. 선두를 서서히 쫓아가던 이호석, 곽윤기는 종소리와 함께 속도를 최대로 올렸다. 그리고 마지막 반 바퀴를 남기고 선두 셀스키를 추월했다. 1위로 골인한 건 이호석이다. 곽윤기는 간발 차로 2위였다. 모든 선수들은 27바퀴에서 한 바퀴가 모자란 26바퀴를 돌고 레이스를 끝냈다.

그순간 아무도 몰랐다. 한국 코치진은 손을 마주치며 기쁨을 나눴다. 3위를 차지한 미국 선수단은 아무도 항의하지 않았다. 캐나다 선수단도 마찬가지였다. 심판들도 몰랐다. 트랙 안에 서 있는 심판들은 바퀴 수를 세지 않는다. 반칙 여부만 본다. 바퀴수를 기록하고 마지막 종을 흔드는 건 불가리아 조직위에서 파견된 요원의 몫이다. 실수를 한 장본인이다.

만약 항의가 있었다면 규정상 재경기를 할 수 있다. 그러나 아무도 이의 제기를 하지 않았다. 경기 감독관은 뒤에 문제를 알았지만 절차에 따라 순위를 그대로 확정했다. 하지만 기록은 무효가 됐다. 심판으로 참가한 편해강 심판은 “쇼트트랙은 기록경기가 아니라 순위 경기이기 때문에 그렇게 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자연히 현재 ISU 홈페이지엔 이날 기록이 없다. 27바퀴가 아니라 28바퀴를 뛰었다면 어떻게 처리할까. 이 경우엔 27바퀴째를 통과한 순위대로 등수를 결정한다.



박창규기자 nada@seoul.co.kr
2010-03-25 2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