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구거포’ 이대호·이승엽 타격메커니즘

‘신구거포’ 이대호·이승엽 타격메커니즘

입력 2010-08-14 00:00
업데이트 2010-08-14 00: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유연성·테이 크백 비슷… 예측 - 대처 달라

본격적인 ‘이대호 시대’다. 13일 광주 KIA전에서 8경기 연속 홈런 대기록을 세웠다. 기존 이승엽 등의 한국기록(6경기 연속)과 오 사다하루의 일본기록(7경기 연속)을 모두 뛰어넘었다. 켄 그리피 주니어 등이 세운 미국 메이저리그 기록과는 타이다. 이 추세면 40홈런도 따놓은 당상이다. 2003년 뒤 7년 만의 40홈런이다. 40홈런 이상을 기록한 토종 타자는 이승엽 심정수 등 4명밖에 없다. 이제 아무도 이대호가 ‘포스트 이승엽’이라는 데 토를 달 사람은 없다. 이대호와 이승엽. 둘의 비교는 이제 필연이다.

이미지 확대
유연한 중심이동 둘은 다르면서도 같다. 일단 체격 차이가 엄청나다. 이대호는 193㎝, 135㎏이다. 정확한 몸무게는 본인만 안다. 이승엽은 183㎝, 95㎏. 전체적인 힘에서 차이가 난다. 그러나 스윙 동작을 보면 일맥상통하는 면이 많다. 둘 다 부드럽다.

이대호는 덩치와 달리 유연하다. 테이크백(타격 때 방망이를 뒤로 빼는 동작)부터 마지막 팔로스로까지 부드럽게 연결된다. 중심이 뒤에서 앞으로 이상적으로 이동한다. 밸런스가 좋다는 얘기다. 이승엽의 타격 자세도 부드럽다 못해 매끄럽다. 하체를 잘 이용해 중심이동이 탁월하다. 팔꿈치는 몸에 붙어 간다. 이대호도 마찬가지다. 이러면 왼쪽 어깨가 늦게 열린다. 가장 이상적인 타격 자세다. 둘은 토종 선수 가운데 가장 부드러운 스윙을 자랑한다.

●노림수와 대처능력 이승엽은 전형적인 게스히터다. 노림수에 강하다. 상대 배터리와 수싸움에 능하다는 얘기다. 이승엽은 데뷔 5년차인 1999년 54홈런을 기록했다. 2003년에는 56개까지 쳤다. 이대호는 올 시즌 전까지 한번도 홈런 30개를 넘기지 못했다.

이 차이는 노하우와 수싸움 능력이다. 이승엽은 상대 볼배합을 읽고 예측하는 능력에서 역대 최고다. 노리던 공이 들어오면 어김없이 홈런을 만든다. 배트 컨트롤도 좋다. 몸이 빠져도 공을 맞혀 홈런을 쳐낸다. 집중견제를 뚫고 결정타를 날릴 수 있는 이유다. 대신 삼진은 많다. 2002년엔 한시즌 130삼진을 기록하기도 했다.

반면 이대호는 대처능력이 좋다. 어떤 코스의 공도 안타로 만들어낼 수 있다. 전형적인 홈런타자 모습은 아니다. 어이없는 스윙이 거의 없고 삼진도 적다. 홈런·타율·타점 타이틀에 모두 도전하기 위해선 정교함도 필수다. 이대호는 “난 거포가 아니라 콘택트 히터”라고 표현한다.

●임팩트와 팔로스로 둘의 테이크백은 비슷하다. 거포답지 않게 작고 간결하다. 궤적에선 차이가 있다. 이승엽은 방망이가 약간 처져 나온다. 공을 맞히는 궤적이 거의 수평으로 원을 그린다. 이대호는 스윙 궤적이 좁다. 왼쪽 팔이 끝까지 겨드랑이에 붙어 있다. 임팩트 순간까지 시간은 이대호가 이승엽보다 빠르다.

공을 맞힌 뒤 동작도 다르다. 이승엽은 맞는 순간 손목 스냅을 100% 이용한다. 손목 힘을 타구에 제대로 싣는다. 이대호는 팔로스로 동작을 길게 가져간다. 왼손목을 등 뒤까지 가서 꺾어준다. 앞발을 딛는 동작에서 이승엽은 들었다 놓았다 움직임이 있다. 이대호는 스트라이드하는 동작과 간격이 항상 일정하다.

전문가들은 대체로 “아직은 이승엽이 전체적으로 앞선다.”고 평가한다. 그러나 이대호는 여전히 성장 중이다.

박창규기자 nada@seoul.co.kr
2010-08-14 15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