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수들, 감독 눈빛만 봐도 안다

선수들, 감독 눈빛만 봐도 안다

입력 2010-10-20 00:00
업데이트 2010-10-20 00: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SK 가을잔치 성공 요인은

말 그대로 21세기 최강팀이다. 프로야구 SK. 리그 다른 팀들과 차원이 다르다. 일본리그나 미국리그에서 뛰어야 한다는 말은 이제 더 이상 농담이 아니다. 투타-수비-주루에서 조그만 틈도 찾기 힘들다. 2000년대 들어 최강 전력을 자랑한 팀은 셋이다. 지금은 사라진 현대가 시리즈 우승을 3차례 차지했다. 삼성도 3번 우승했다. 이제 SK도 3번째 우승이다. 우승 횟수는 같다. 그러나 질적으로 차이가 있다. SK에는 이전 강팀들과 구분되는 분명한 특징이 존재한다.

SK는 하나의 유기체다. 김성근 감독은 이 유기체를 움직이는 머리다. 머리가 명령하면 팔다리는 자연스레 움직인다. 시간차도 의사소통의 불일치도 없다. 불만이나 의심은 더더욱 없다. 한국시리즈 1차전 동점타를 날린 김재현을 2차전 라인업에서 제외해도, 1차전 홈런 주인공 박정권에게 번트를 지시해도 아무도 불만을 가지지 않는다. 당연한 듯 지시를 수행한 뒤 거기서 한발 더 나간다. 감독이 의도하는 게 뭔지 의중을 파악해 알아서 움직인다.

한때 SK를 향해 “야구기계들이 하는 재미없는 야구”라는 평가도 있었다. 그러나 이젠 아무도 그렇게 말할 수 없다. 그 수준을 뛰어넘었다. 감독 지시를 바탕으로 그 이상을 자율적으로 해낸다. 유기체의 팔다리는 머리보다 앞서서 반사적으로 움직이는 수준에 이르렀다. 김성근 야구는 부임 4년 만에 완전히 팀에 뿌리내렸다.

SK가 이전 강팀들과 달리 스타군단이 아니라는 점도 특별하다. 올 시즌에도 SK는 좋은 전력이 아니었다. 핵심 선수들이 수술과 입대로 빠져나갔다. 주력 선수 대부분이 부상과 부진에 시달렸다. 그래도 팀은 흔들리지 않았다. 오히려 시즌 전반기를 마칠 때까지 60승28패, 압도적인 힘을 선보였다. 시즌 막판 체력 문제가 불거졌지만 2위 삼성의 맹추격을 끝내 뿌리쳤다. 정규시즌 우승을 차지했고 한국시리즈 우승까지 휩쓸었다. 저력이다. 개인은 특출나지 않아도 팀은 강하다.

이제 SK는 장점의 선순환 체제에 들어선 걸로 보인다. 지난 시즌엔 김광현과 박경완 없이 준우승을 차지했다. 올 시즌에도 여러 가지 악조건을 뚫고 우승을 거머쥐었다. 베테랑이 은퇴하고 신인이 들어오더라도, 선수단 구성에 변화가 생겨도 이 경험은 대물림되고 공유된다. 이른바 강팀의 전통이다. 이런 전통을 가진 팀은 쉽게 무너지지 않는다. 앞으로 한동안 SK의 시대는 계속될 가능성이 크다.

대구 박창규기자 nada@seoul.co.kr
2010-10-20 28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