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여자축구 활성화를 위해 전폭적인 지원에 나선다.
문화체육관광부는 29일 종로구 와룡동 사옥에서 2013년까지 185억원을 지원해 초·중·고·대학에 여자축구 45개 팀 창단을 유도하는 ‘여자축구 활성화 지원 종합계획’을 발표했다.
지원 내역을 살펴보면 기존 여자축구 팀 운영비 지원으로 연간 20억원씩 총 60억원을 지급하고 국민체육진흥공단이 여자축구팀을 창단해 3년간 총 90억원을 투자한다.
또 3년간 45개 팀 창단 지원금으로 34억원을 책정했으며 지난 9월 트리니다드 토바고 U17여자축구 월드컵에서 우승한 대표팀 포상금으로 1억1천85만원을 지급할 예정이다.
정부는 매년 팀을 창단하는 △5개 초등학교와 5개 중학교에 각 3천만원씩 3년 지원 △3개 고등학교에 4천만원씩 3년 지원 △2개 대학에 2년간 2억 지원 등 향후 3년간 45개 여자축구팀 창단을 유도해 현재 학교팀을 57개에서 102개로 대폭 늘린다는 방침이다.
실업팀으로는 국민체육진흥공단 팀 뿐 아니라 스포츠토토에서도 조만간 팀을 창단할 예정이다.
또 대한축구협회와 한국프로축구연맹도 저변 확대를 위해 매년 10억원씩 여자축구에 지원하기로 했다.
축구협회의 지원 사업은 K리그와 WK리그 산하 유소녀 클럽팀 운영과 지도자 처우 개선,우수 선수 및 지도자 해외연수 등이다.
문화부 박선규 차관은 “여자축구는 주위의 무관심속에도 U-20 여자월드컵 3위,U-17 여자월드컵 우승 등 성장 가능성이 매우 높은 종목임이 입증됐지만 주변 여건이 매우 열악했다”고 밝힌 뒤 “선수 수급 곤란과 어려운 경제 여건으로 인해 팀 해체 및 창단 기피,대학 및 실업팀 부족 등 고질적인 문제들을 해소해 여자축구의 지속적인 성장과 발전이 이뤄지길 기원한다”고 설명했다.
박선규 차관은 또 “다음 달 2일 스위스 취리히에서 2022년 남자월드컵 개최지가 결정되는데 FIFA에서도 (유치 후보국가들에게) 많은 관심을 갖고 있다.이번 발표가 작으나마 (월드컵 유치에) 도움이 됐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문화체육관광부는 29일 종로구 와룡동 사옥에서 2013년까지 185억원을 지원해 초·중·고·대학에 여자축구 45개 팀 창단을 유도하는 ‘여자축구 활성화 지원 종합계획’을 발표했다.
지원 내역을 살펴보면 기존 여자축구 팀 운영비 지원으로 연간 20억원씩 총 60억원을 지급하고 국민체육진흥공단이 여자축구팀을 창단해 3년간 총 90억원을 투자한다.
또 3년간 45개 팀 창단 지원금으로 34억원을 책정했으며 지난 9월 트리니다드 토바고 U17여자축구 월드컵에서 우승한 대표팀 포상금으로 1억1천85만원을 지급할 예정이다.
정부는 매년 팀을 창단하는 △5개 초등학교와 5개 중학교에 각 3천만원씩 3년 지원 △3개 고등학교에 4천만원씩 3년 지원 △2개 대학에 2년간 2억 지원 등 향후 3년간 45개 여자축구팀 창단을 유도해 현재 학교팀을 57개에서 102개로 대폭 늘린다는 방침이다.
실업팀으로는 국민체육진흥공단 팀 뿐 아니라 스포츠토토에서도 조만간 팀을 창단할 예정이다.
또 대한축구협회와 한국프로축구연맹도 저변 확대를 위해 매년 10억원씩 여자축구에 지원하기로 했다.
축구협회의 지원 사업은 K리그와 WK리그 산하 유소녀 클럽팀 운영과 지도자 처우 개선,우수 선수 및 지도자 해외연수 등이다.
문화부 박선규 차관은 “여자축구는 주위의 무관심속에도 U-20 여자월드컵 3위,U-17 여자월드컵 우승 등 성장 가능성이 매우 높은 종목임이 입증됐지만 주변 여건이 매우 열악했다”고 밝힌 뒤 “선수 수급 곤란과 어려운 경제 여건으로 인해 팀 해체 및 창단 기피,대학 및 실업팀 부족 등 고질적인 문제들을 해소해 여자축구의 지속적인 성장과 발전이 이뤄지길 기원한다”고 설명했다.
박선규 차관은 또 “다음 달 2일 스위스 취리히에서 2022년 남자월드컵 개최지가 결정되는데 FIFA에서도 (유치 후보국가들에게) 많은 관심을 갖고 있다.이번 발표가 작으나마 (월드컵 유치에) 도움이 됐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