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농구 평정 ‘준비된 프로’ 중앙대 김선형

대학농구 평정 ‘준비된 프로’ 중앙대 김선형

입력 2010-12-14 00:00
수정 2010-12-14 00:5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인천 고향팀 전자랜드가 제일 끌려요”

지난 4년은 화려했다. 불멸의 52연승과 대학리그제 전승 우승. 대학리그 초대 최우수선수(MVP)도 꿰찼다. 국가대표에도 발탁됐다. 중앙대 가드 김선형(22)이다. 모든 것을 다 이뤘다. 지난 12일 대학리그 시상식에서 만나 프로 입단을 기다리며 설레는 심정을 들었다.

이미지 확대
중앙대 가드 김선형이 최근 열린 대학리그 경기에서 드리블하고 있다. 점프볼 제공
중앙대 가드 김선형이 최근 열린 대학리그 경기에서 드리블하고 있다.
점프볼 제공
●천하무적 중대, 용병 끼면 프로도 OK?

중앙대는 대학 최강이다. 프로에서도 통할 거란 얘기도 들린다. 김선형은 “대학리그니까 강한 거죠.”라면서도 재차 묻자 “외국인 선수 하나 끼면 프로에서도 해볼 만할 것 같아요.”라고 수줍게 말했다.

잘난 척이 아니다. 중앙대는 올 시즌 처음 도입된 대학리그제에서 25전 전승으로 우승했다. 너무 이겨서 별 감흥도 없다. 김선형은 “우승하면 코트로 뛰어나오고 해야 하는데…. 다들 덤덤해요. 그러려니 하는 것 같아요.”라고 말했다. 이번 농구 대잔치에 1부 대학 경기가 빠지면서 김선형이 중앙대 소속으로 뛰는 일은 이제 없다. “홀가분하면서도 아쉽다.”고 했다.

중앙대는 그에게 어떤 기억일까. 한참을 고민하더니 “땀?”이라고 했다. “뛰면 땀을 흘리잖아요. 항상 저한테서 뗄 수 없고. 냄새도 좀 나고요. 하하.” 다소 뚱딴지같은 대답. 그동안 흘린 땀이 그만큼 많다는 뜻일 것이다.

잊지 못할 순간은 50연승을 달성한 날이라고. 김선형이 2학년이던 2008년, 중앙대는 대학농구 2차 연맹전에서 고려대를 누르고 새 역사를 썼다. 고려대가 갖고 있던 비공인 49연승 기록(1977~79년)을 깼다. 4년간 가장 기억에 남는 일이다. 즐거운 추억을 얘기하자 표정도 밝아지고 말도 빨라졌다.

드래프트 1~4순위 팀은 전자랜드·오리온스·인삼공사·SK. 김선형은 “어느 팀에 뽑혀도 감사하죠. 열심히 뛰어서 보탬이 되고 싶어요. 막내 노릇도 자신 있습니다.”라고 했다. 그러면서도 가장 가고 싶은 팀으로 조심스레 전자랜드를 꼽았다. “송도중-송도고를 나와서 인천에 애착도 많고요.” 전자랜드는 이번에 지명이 안 되더라도 언젠간 뛰고 싶은 ‘친정 같은 존재’다.

●AG대표 탈락했지만 많이 배웠어요

지난여름 얘기를 꺼냈다. 국가대표에 뽑혔던 일. 유재학 감독(모비스) 밑에서 두달간 열심히 땀 흘렸다.

그러나 광저우 아시안게임 티켓은 그의 몫이 아니었다. 하승진(KCC)이 합류하면서 탈락했다. 유 감독은 “운이 없었다.”고 달랬다. 속상할 법도 하지만 김선형에겐 좋은 기억뿐. “예상했는데도 막상 떨어지니까 아쉬웠어요. 제가 갔으면 속공이 좀 더 나왔겠죠? 그래도 형들하고 부딪치면서 프로에서 어떻게 해야 할지 배웠어요.”

악착같은 수비를 배운 것도 큰 소득. 미국 전지훈련 중 흑인과 경기한 것도 잊을 수 없다고 했다. “흑인은 팔도 길고…. 우리와 차원이 다르다고 생각했어요. 걔네들이랑 하다가 오니까 여유도 생기고 플레이에 자신감이 붙었어요.”

준비된 신인 김선형의 날갯짓은 지금부터다.

조은지기자 zone4@seoul.co.kr
2010-12-14 2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