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육상 단거리의 ‘선택과 집중’ 전략이 효과를 내고 있다.
올해 초 구성된 육상 남자 400m 계주팀이 첫 계측에서 39초대를 주파하고 한국신기록 수립 가능성을 높였다. 대한육상연맹은 김민균(22·충남대), 임희남(27·광주광역시청), 전덕형(27·경찰대), 김국영(20·안양시청)으로 구성된 계주 A대표팀이 지난 25일 태국 방콕 타마삿대학교 트랙에서 열린 계주 훈련에서 39초 93을 찍고 결승선을 통과했다고 29일 밝혔다. 지난달 3일 방콕으로 전지훈련을 떠나 계주 강국인 태국의 지도자로부터 바통터치 기술을 전수받은 대표팀이 계주팀 구성 뒤 첫 계측에서 한국기록(39초 43)에 0.5초 모자란 좋은 기록을 내면서 희망을 쏘아 올린 것. 오세진 육상 대표팀 수석코치는 “처음으로 호흡을 맞춰 39초대를 뛰었다는 것에 의미를 두고 싶다.”고 과대평가를 경계했다. 하지만 “바통터치 기술이 아직 50%밖에 안 된다. 컨디션이 올라오면 기록을 더 줄일 수 있다.”고 덧붙였다. 박승혁 대표팀 계주 코치는 “예전에는 바통을 밀어서 넘겨 줬다면 지금은 손목 스냅을 이용해 바통을 전달하고 바통을 받은 선수도 받자마자 앞으로 치고 나가는 새 기술을 터득했다.”고 밝혔다.
장형우기자 zangzak@seoul.co.kr
올해 초 구성된 육상 남자 400m 계주팀이 첫 계측에서 39초대를 주파하고 한국신기록 수립 가능성을 높였다. 대한육상연맹은 김민균(22·충남대), 임희남(27·광주광역시청), 전덕형(27·경찰대), 김국영(20·안양시청)으로 구성된 계주 A대표팀이 지난 25일 태국 방콕 타마삿대학교 트랙에서 열린 계주 훈련에서 39초 93을 찍고 결승선을 통과했다고 29일 밝혔다. 지난달 3일 방콕으로 전지훈련을 떠나 계주 강국인 태국의 지도자로부터 바통터치 기술을 전수받은 대표팀이 계주팀 구성 뒤 첫 계측에서 한국기록(39초 43)에 0.5초 모자란 좋은 기록을 내면서 희망을 쏘아 올린 것. 오세진 육상 대표팀 수석코치는 “처음으로 호흡을 맞춰 39초대를 뛰었다는 것에 의미를 두고 싶다.”고 과대평가를 경계했다. 하지만 “바통터치 기술이 아직 50%밖에 안 된다. 컨디션이 올라오면 기록을 더 줄일 수 있다.”고 덧붙였다. 박승혁 대표팀 계주 코치는 “예전에는 바통을 밀어서 넘겨 줬다면 지금은 손목 스냅을 이용해 바통을 전달하고 바통을 받은 선수도 받자마자 앞으로 치고 나가는 새 기술을 터득했다.”고 밝혔다.
장형우기자 zangzak@seoul.co.kr
2011-03-30 2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