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표는 오직 1승… 깡다구 앞세워 그라운드로”
이제 ‘대망의 A매치’다. 여자럭비대표팀이 28일 출국, 새달 1~2일 열리는 국제럭비위원회(IRB) 아시아여자 7인제대회(인도 푸네)에 출전한다.밤 비행기로 뭄바이까지 9시간을 날아가 거기서 또 차로 3시간을 이동해야 하는 고난의 행군(?)이다. 하지만 장거리 비행이나 인도 문화에 대한 걱정보다는 오직 경기 걱정뿐이다.
이번 대회가 우리팀의 존재 이유였다. 멀리 2014인천아시안게임을 바라봤다고 해도 가까이는 이번 인도대회를 위해 5개월여간 쉼 없이 달려왔다.
지난달 중국 상하이에서 치렀던 친선경기는 ‘견학’ 성격이 짙었다. 5전 전패로 왕창 깨졌지만 남자 중학생이 아닌 ‘여자들’과 실제 경기를 치를 수 있었던 소중한 경험이었다.
이번 대회 결과로 아시아여자팀의 랭킹이 정해진다. 경기를 보면서 탄성을 질렀던 카자흐스탄·중국·홍콩·태국 등 쟁쟁한 나라들을 비롯, 총 12개국이 출사표를 던졌다.
조별리그 대진도 정해졌다. 첫 경기부터 ‘후덜덜’이다. 지난해 광저우아시안게임 금메달리스트 카자흐스탄이다. 상하이 대회 때 보니 엄청난 ‘덩치’를 앞세워 웬만한 태클쯤은 가볍게 뚫고 돌진하는 파워 럭비를 구사했다.
다음은 홍콩. 영국령이었던 터라 럭비에 잔뼈가 굵고 선수들 실력이 수준급이다. 힘과 기술을 고루 겸비했다. 마지막 상대는 홈팀 인도로 우리가 1승 상대로 노리고 있다. (서로가 그럴 것 같지만) 이렇게 세 팀과의 조별리그가 끝나면 순위결정전까지 2~3경기를 더 치른다.
우리의 목표는 오직 ‘1승’이다. 한 번 이긴다고 뭐 달라지는 게 있을까 싶지만 뭔가 결실을 보고 싶은 욕심이 생긴다. 물론 두렵고 떨린다.
지난해 남아공월드컵을 앞두고 허정무 감독이 왜 그렇게 ‘유쾌한 도전’을 강조했는지 얼핏 알 것도 같다. 스스로 ‘즐겁다.’, ‘할 수 있다.’ 주문을 걸지 않으면 실력발휘를 할 수 없다. 정신부터 지고 들어가면 경기는 보나 마나 끝이니까. ‘상대는 너무 강해. 도저히 이길 수 없을 거야.’라는 나약한 마음보다는 ‘밑져야 본전’이라는 근성으로 그라운드에 서야겠다.
27일 오후 운동-아마도 2기 대표팀의 마지막 오후 훈련이었을-을 마치고 파이팅을 할 때 말했다. “우리 스스로가 할 수 있다고 믿지 않으면 여자럭비팀이 할 거라고 믿는 사람은 이 세상에 아무도 없다. 우리끼리만이라도 동료를 믿고 1승을 믿자.”고. 가을볕에 더욱 새까매진 동생들은 눈을 빛내며 고개를 끄덕였다. 자, 이제 출발이다.
조은지기자 zone4@seoul.co.kr
2011-09-28 2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