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리우올림픽 경기장 수질오염 위험수준…세균 대량검출

내년 리우올림픽 경기장 수질오염 위험수준…세균 대량검출

입력 2015-07-30 15:30
수정 2015-07-30 15:3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내년 하계 올림픽이 열리는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의 수질 오염이 심각해 수영, 조정, 요트 등 각종 수상경기를 치르는 선수들의 건강에 심각한 위험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AP통신이 2016년 올림픽·패럴림픽에서 수영 등의 경기가 열리는 경기장 세 곳에서 채취한 수질 샘플을 연구기관에 의뢰해 조사한 결과 수중 바이러스와 세균 수치가 위험 수준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번 조사는 지난 3월부터 총 4차례에 걸쳐 실시한 것이다.

그 결과 심한 설사와 구토, 호흡장애 등의 원인이 되는 아데노바이러스 수치가 지속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특히 조정 경기가 열릴 예정인 호드리구 지 프레이타스 호수가 오염이 가장 심한 곳 가운데 하나로 조사됐다.

이곳에서는 리터당 1천400만 마리에서 최대 17억 마리의 아데노바이러스가 검출됐다.

심지어 가장 오염이 덜 된 곳으로 알려진 코파카바나 해변에서도 미처리 하수와맞먹는 양의 바이러스가 검출됐다. 코파카바나 해변에서는 마라톤과 트라이애슬론 수영 경기가 열린다.

이 때문에 자칫 선수들의 건강에 해를 끼침으로써 올림픽 꿈을 좌절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이번 조사 이전에도 리우데자네이루의 수질 문제는 그동안 지속적으로 제기돼 왔다. 리우시에서 발생하는 하수가 대부분 걸러지지 않은 채 강이나 바다로 흘러들어 가기 때문이다.

훈련 중 고열과 구토, 설사 등의 증세에 시달린 선수들이 이미 있을 정도다.

과나바라 만에서 몇 달째 훈련 중인 호주팀 코치 이반 불라자는 “리우의 수질은 그동안 경험해 본 것 중 최악”이라며 “여기서 수영하면 물속의 온갖 나쁜 것들이 입, 코로 다 들어가는 것”이라고 말했다.

브라질 당국은 내년 올림픽 개최 전까지 리우의 수질 개선을 최우선 과제로 추진하겠다면서 수질 안전에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AP의 이번 조사 결과에 대해 전문가들은 이미 경기를 치를 수 없을 정도의 수준이며, 올림픽 전까지 수질을 개선하기에도 늦었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