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성빈은 8일(한국시간) 독일 빈터베르크에서 열린 국제봅슬레이스켈레톤경기연맹(IBSF) 4차 월드컵 남자 스켈레톤 1차 시기에서 56초62의 기록으로 1위에 올라 ‘황제’ 마르틴스 두쿠르스(라트비아·56초68)보다 0.06초 빨랐다. 데이브 그레스치스진(캐나다)은 56초88로 3위를 차지했다.
2차 시기까지 합해 메달 색깔을 가릴 예정이었으나 눈발이 굵어지면서 지연됐다가 결국 취소됐다.
IBSF 트위터는 “2차 시기가 취소됐다”면서 ‘최종 결과’로 윤성빈의 금메달 소식을 전했다. 미국 레이크 플래시드에서 열린 1차 대회에서 은메달을 차지한 뒤 미국 파크시티에서 열린 2차 대회, 캐나다 휘슬러에서 열린 3차 대회에 이어 3연속 금메달이다. 아시아 출신으로는 당연히 최초이며 총점 885점으로 세계랭킹 1위를 지켰다.
윤성빈이 평창올림픽 금메달의 꿈을 이루려면 반드시 넘어서야 하는 두쿠르스는 1차 대회에서 금메달, 2차 대회에서 은메달을 획득한 뒤 3차 대회에서 6위로 부진했는데 4차 대회에서 은메달로 올라섰지만 총점 821점으로 세계 2위를 유지했다.
임병선 선임기자 bsnim@seoul.co.kr
윤성빈(가운데)이 8일 IBSF 스켈레톤 4차 월드컵 우승을 차지한 뒤 마르틴스 두쿠르스(왼쪽), 데이브 그레스치스진과 함께 트로피를 든 채 포즈를 취하고 있다. 빈터베르크 AP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윤성빈(가운데)이 8일 IBSF 스켈레톤 4차 월드컵 우승을 차지한 뒤 마르틴스 두쿠르스(왼쪽), 데이브 그레스치스진과 함께 트로피를 든 채 포즈를 취하고 있다. 빈터베르크 AP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