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 블로그] 완판됐다더니… 찬물 붓는 ‘노쇼’

[평창 블로그] 완판됐다더니… 찬물 붓는 ‘노쇼’

김경두 기자
김경두 기자
입력 2018-03-11 23:02
수정 2018-03-12 02:0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평창동계패럴림픽이 지난 9일 환상적인 개회식을 시작으로 열흘간의 열전에 들어갔습니다. 벌써 ‘엄지척’을 내보일 만큼 대회 성공을 이야기하는데요. 아쉬운 게 하나 있습니다. 바로 입장권을 구하고도 경기장을 찾지 않는 이른바 ‘노쇼’(No-Show)입니다. 조직위원회도 이를 예상해 비상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지만 ‘역시나’였습니다.

가장 화려하고 볼거리가 많다는 개회식에서도 마찬가지였습니다. 올림픽스타디움 정면 맞은편 1층 A석(14만원)엔 빈자리가 듬성듬성한 게 아니라 뭉텅뭉텅 보였습니다.

지난 10일 대한민국 첫 금메달을 기대했던 바이애슬론 경기가 열린 평창 알펜시아 바이애슬론센터도 다르지 않았죠. 그러나 인터넷 예매 사이트엔 매진됐다고 안내하고 있습니다. 11일 우리나라에 첫 메달(동)을 안긴 크로스컨트리스키에서도 역시나 빈자리가 눈에 거슬렸습니다. 그나마 장애인 아이스하키 한·일전이 열린 강릉하키센터엔 관중들로 북적거렸습니다. 한류 스타이자 평창패럴림픽 홍보 대사인 배우 장근석씨가 자비를 들여 팬 2018명과 함께 경기를 보러 온 덕분입니다. 대표팀 선수들도 “이렇게 많은 분들의 응원으로 힘을 냈다”고 입을 모았습니다.

조직위는 앞서 패럴림픽 전체 입장권 28만장 ‘완판’을 자랑했죠. 이희범 위원장은 “목표치(22만장)의 128%를 달성했다”고 말했습니다. 100일 전만 해도 낮은 티켓 판매율로 발을 동동 굴렀는데 ‘대박’인 셈이죠. 따져 보면 강원도가 예산으로 50%에 가까운 티켓을 구입한 데다 기업과 기관들의 대거 구매도 작용했습니다. 판매 수익엔 큰 도움이 됐지만 관중석을 채우는 건 또 다른 문제입니다. 조직위와 강원도도 이를 인식해 자원봉사자와 지역 주민들로 긴급 투입반을 꾸렸지만 아직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모습입니다.

선수 사기를 높이는 게 뜨거운 응원 함성과 박수라면 선수 기운을 쏙 빼는 건 빈 관중석입니다. 티켓 판매율이 높다고 뽐낼 게 아닙니다. 조직위의 세심한 대책이 필요합니다.

평창 김경두 기자 golders@seoul.co.kr
2018-03-12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