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덕의 겨울스포츠’ 바이애슬론

‘밀덕의 겨울스포츠’ 바이애슬론

장형우 기자
장형우 기자
입력 2022-01-25 13:18
수정 2022-01-25 13:1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북유럽 군대에서 기원
크로스컨트리 + 사격
한국 선수 3명 출전

바이애슬론 김선수
바이애슬론 김선수 전북체육회 제공
바이애슬론(Biatholon)은 이름 그대로 두 개(Bi)의 운동(Athlon), 즉 크로스컨트리 스키와 사격을 결합한 종목이다. 눈밭에서 스키 마라톤을 하는 중간 중간에 호흡을 가다듬고 총을 쏘는 셈인데, 체력과 사격기술이 동시에 요구된다.

바이애슬론은 겨울이 긴 북유럽 군인의 순찰 훈련에서 기원했는데, 하계 올림픽의 근대5종(수영, 육상, 승마, 펜싱, 사격)과 대칭을 이루는 종목이다. 그래서 1998년 이전에는 국제근대5종연맹(UIPM)이 바이애슬론을 운영했고, 1924년 제1회 프랑스 샤모니 동계올림픽에서는 밀리터리 패트롤(Military patrol)이라는 이름으로 정식 종목에 채택됐다. 이른바 ‘밀덕’(밀리터리 덕후)의 겨울스포츠인 셈. 원래 남자 개인전 한 종목 뿐이었지만 1992년 바르셀로나 대회부터는 여자부 경기도 열렸다.

2022 베이징 대회에선 바이애슬론에 스피드스케이팅(14개), 프리스타일 스키(13개), 크로스컨트리 스키(12개)에 이어 네 번째로 많은 11개의 금메달이 걸려 있다. 세부 종목은 ▲개인(남 20㎞·여 15㎞) ▲스프린트(남 10㎞·여 7.5㎞) ▲추적(남 12.5㎞·여 10㎞) ▲매스스타트(남 15㎞·여 12.5㎞) ▲계주(남 4×7.5㎞·여 4×6㎞) ▲혼성계주(4×6㎞) 등이다.

개인전은 남자는 4㎞, 여자는 3㎞씩 달린 뒤 5발씩 사격하는데 모두 4회 20발을 쏜다. 사격 자세는 입사(서서쏴)와 복사(엎드려쏴) 두 가지다. 스프린트는 남자는 3.3㎞, 여자 2.5㎞마다 5발씩 2차례 사격한다.

개인전과 스프린트 다음에 열리는 추적은 앞선 경기 기록에서 1위를 한 선수가 가장 먼저 출발하고, 1위와 기록 차만큼 시차를 두고 후순위 선수가 출발한다. 매스스타트 또한 앞선 경기 결과를 바탕으로 상위 30명만 참가할 수 있는데 개인전, 스프린트, 추적과 달리 선수들이 동시에 출발해 박진감을 준다. 계주는 4명(혼성은 남 2·여 2)이 팀을 이뤄 경쟁한다.
티모페이 랍신(왼쪽) 에카테리나 에바쿠모바
티모페이 랍신(왼쪽) 에카테리나 에바쿠모바 연합뉴스
전통적으로 독일, 노르웨이, 러시아 등이 강국이다. 우리나라는 러시아 출신 귀화선수인 티모페이 랍신(34·전남체육회)이 남자부에 에카테리나 아바쿠모바(32·석정마크써밋)와 김선수(33·전북체육회)가 여자부에 출전한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