덜컥… 다 잡은 우이밍 놓쳤다

덜컥… 다 잡은 우이밍 놓쳤다

장형우 기자
장형우 기자
입력 2022-05-26 00:52
수정 2022-05-26 03:3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본선 1차전 4국

허서현, 후반 실수… 역전패 당해
덜컥수·착각 겹쳐 中 4연승 허용
이미지 확대
허서현
허서현
한국의 두 번째 주자 허서현(20) 3단도 중국 우이밍(16) 3단의 돌풍을 막지 못했다. 허 3단은 국제무대 데뷔전이라는 사실이 믿기지 않을 정도로 차분하게 우위를 지켜 나갔지만 후반에 여러 차례 실수를 범해 역전패했다.

허 3단은 25일 온라인 대국으로 열린 ‘2022 호반배 서울신문 세계여자바둑패왕전’ 본선 1차전 4국에서 우이밍 3단에게 221수 만에 백 불계패했다. 이로써 일본의 선봉 나카무라 스미레(13) 2단과 한국의 선봉 이슬주(16) 초단, 최고령 출전 선수인 일본의 스즈키 아유미(39) 7단을 꺾었던 우이밍 3단은 4연승을 달렸다.

초반에는 허 3단이 앞서갔다. 우상귀에 팻감을 놓고 좌하귀에서 벌인 공방전에서 우위를 점했다. 하변에서 우하귀로 이어진 전투에서도 허 3단은 실수 없이 우이밍 3단의 공격을 받아넘겼다. 하지만 우하귀에서 우변으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승부를 낼 수 있는 묘수를 놓치고 서둘러 좌상귀로 들어가면서 좋았던 기세가 꺾이고 말았다.

중앙 싸움에서도 허 3단은 우이밍 3단과 일진일퇴의 공방전을 벌이며 근소한 우위를 지켰다. 하지만 덜컥수인 158수로 우이밍 3단에게 반전의 기회를 제공하면서 승기를 뺏겼다. 끝내기에서도 느슨한 수읽기로 격차가 벌어졌고, 마지막엔 착각까지 나오면서 손안에 들어왔던 승리를 놓치고 말았다.

반면 중국의 차세대 주자 우이밍 3단은 어린 나이답지 않게 불리한 형세 속에서도 반전의 기회를 놓치지 않는 노련함을 과시했다. 4연승을 하며 이번 대회 돌풍의 주인공으로 떠오른 우이밍 3단은 연승 상금 400만원(3연승 200만원, 1승 추가 시 200만원)을 확보했다.

봄엔 리솜으로…호반호텔앤리조트, 4월까지 ‘리솜 슈퍼위크’

커피쿠폰·발시트 제공…추첨으로 조식이용권도 화이트데이엔 업장별 ‘스위트 데이즈’ 패키지도 호반호텔앤리조트는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가 주관하는 ‘3월 여행가는 달’을 맞아 ‘2025 리솜 슈퍼위크’ 프로모션을 진행한다고 5일 밝혔다. 리솜 슈퍼위크는 각 리솜 사업장별 객실과 리조트 내 카페인 르스튜디오블루 아메리카노 2잔으로 구성돼 있다. 구매 고객에게는 라이온코리아 휴족시간(1세트)을 제공하고, 구매 후 예약 알림톡이나 예약 내역을 캡처해 리솜리조트 공식 인스타그램을 팔로우하고 다이렉트 메시지(DM)로 보내면 12명을 추첨해 조식 이용권을 증정할 예정이다. 오는 16일까지 한정 판매하는 패키지는 리솜리조트 공식 홈페이지에서 예약할 수 있다. 이용 기간은 4월 말까지다. 아울러 호반호텔앤리조트는 14일 화이트데이를 맞아 사업장별 ‘스위트 데이즈’(Sweet Days) 패키지도 선보인다. 레스트리(충북 제천)에서는 객실(1박)에 스파 이용권(2인), 딸기 빙수로 구성했다. 스플라스 리솜(충남 덕산)에서는 객실(1박)과 디저트 세트(사과빵·티)를 준비했다. 아일랜드 리솜(충남 태안)은 객실(1박)과 스파 이용권(2인), 케이크 1개를 마련했고, 스위트 데
thumbnail - 봄엔 리솜으로…호반호텔앤리조트, 4월까지 ‘리솜 슈퍼위크’

일본은 우이밍 3단의 연승을 저지할 세 번째 주자로 셰이민(33) 7단을 내밀었다. 대만 출신의 셰이민 7단은 후지사와 리나(24) 5단에게 1인자 자리를 내주기 전까지 일본 여자기사 중 역대 최다 우승인 27차례 우승컵을 들어 올리는 등 일본 여자바둑계를 평정했다. 하지만 2020년 오청원배 세계여자바둑대회 24강전에서 우이밍 3단에게 불계패했다.
2022-05-26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주 4.5일 근무 당신의 생각은?
2025 대선의 공식적인 선거운동이 시작된 가운데 일부 후보들이 공약으로 내건 주 4.5일 근무가 '뜨거운 감자'로 떠오르고 있다. OECD 국가 중 우리나라의 근로시간이 지나치게 길기 때문에 근로시간을 조정하겠다는 것인데 경제계는 난색을 표하고 있다. 당신의 생각은?
주 4.5일 근무에 찬성한다.
주 4.5일 근무에 반대한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