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저우 아시안게임 D-30] “인도에서 시작… 전국 보급이 꿈이죠”

[광저우 아시안게임 D-30] “인도에서 시작… 전국 보급이 꿈이죠”

입력 2010-10-13 00:00
업데이트 2010-10-13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카바디 국내도입의 선구자 동아대 윤영학 박사

“저도 10년 전엔 카바디란 이름조차 들어보지 못했어요.”

대한카바디협회 전무이사 겸 대표팀 감독인 동아대 윤영학(54) 교수는 카바디 국내 도입의 선구자다. 카바디라는 이름을 처음 접하게 된 계기는 2002년 부산 아시안게임 때였다. “한 선배 교수가 조직위원회에 있었는데, 카바디라는 종목이 정식 종목이라고 얘기해 주더라고요.”

대회 조직위에서조차 이 종목을 처음 접한 터였다. 대회를 치르려면 카바디를 알아야 하는데 적임자로 윤 교수가 지목됐다. “인도에 직접 가서 배워 와야 한다는 거예요. 허허.” 왠지 모르게 끌렸다. 윤 교수는 고민 끝에 카바디를 집중 탐구해 보기로 작정했다. 2001년 7월 아시안게임 조직위 카바디 담당관으로 부임했다.

이미지 확대
아시아카바디연맹 측과 우여곡절 끝에 연락이 닿았다. 윤 교수는 그해 10월 인도로 건너갔다. 인도 간디나가르의 국가대표 훈련장을 찾았다. 윤 교수는 인도 대표 선수들과 똑같이 훈련하고 숙식하며 인도 문화와 함께 카바디를 체험했다. “인도 중부와 서부를 돌아다니면서 시합을 관람하고 나니 차차 카바디에 대한 개념이 잡히더라고요.”

국내로 돌아온 윤 교수는 2002년 4월 동아대 학생 50여명을 모집했다. “주말마다 학생들에게 경기 규칙과 대회 운영 방법 등을 가르쳤죠. 실제 시합도 치렀어요.” 카바디 국내 보급의 시작이었다. 윤 교수는 영산대, 한국국제대학, 목포대불대 등 강의가 있는 대학마다 카바디를 소개하며 보급에 힘썼다. “현재 대학에 4개팀 정도가 있고, 2005년부터 해마다 풀리그를 치르고 있어요.”

윤 교수는 카바디를 전국에 보급하는 게 목표다. “서울 쪽에 아직 보급이 안 됐어요. 대학 특강이나 심판 강습회 등을 통해 꾸준히 보급에 힘쓸 것입니다.”

부산 황비웅기자 stylist@seoul.co.kr
2010-10-13 2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