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광저우 아시안게임 기사의 제목에는 ‘만리장성’이라는 용어가 자주 들어간다. 가령 ‘남자 탁구 만리장성 못 넘고 은메달’ 같은 식이다. ‘중국=만리장성’이라는 느낌이 들 정도다.
☞ [포토] 코리안號 ‘종합 2위 목표’ 순항중
만리장성은 진나라 때 북방민족의 침입을 막기 위해 진시황이 지은 성벽이다. 지난해 4월 중국 고고학계가 발표한 총길이는 8851.8㎞. 명나라 때 증축한 뒤 현재도 연장 공사가 진행되고 있다. 처음에는 군사적인 목적이 컸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흉노족 등 유목문화와 농경문화를 구분 짓는 문화적 경계선으로 그 의미가 확장됐다. 변방문화로부터 중화문화를 지키기 위한 심리적인 ‘방어벽’ 역할까지 겸한 셈이다.
아시아의 최대 축제가 한창인 광저우에서 취재를 다니면서 느끼는 점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
고층 건축물 단지에 빙 둘러쳐져 있는 담장은 가도 가도 끝이 없다. 5m마다 부동자세로 서 있는 공안들은 성곽을 지키는 병사를 연상케 한다. 출입문은 대부분 하나라서 찾기도 쉽지 않고, 들어가려면 반드시 공안의 신원 확인이 필요하다. 중국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만리장성’ 문화다.
경기장은 더 심하다. 처음 수영장 취재를 갔을 때 일이다. 지도상으로 야구장 옆에 수영장이 있기에 야구장을 찾은 뒤 수영장을 가면 된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야구장을 따라 빙 둘러친 철조망은 끝이 없었다.
경기장 시설물은 옛 성곽이고, 철조망은 성곽을 지키기 위해 쌓은 장성이라고 보면 된다. 결국 지도상에서 바로 옆 건물로 보였던 경기장을 찾아가는 데만 한 시간이 걸렸다. 나가는 문과 들어오는 문이 분리돼 있어 한번 들어오면 빠져나가기도 쉽지 않았다.
심리적인 방어벽은 더 심해 보인다. 외국 손님들에게 친절하게 대하도록 교육받은 자원봉사단도 출입 제한에 대해서는 엄격하다. 절대 들여보낼 수 없다는 듯 일단 손으로 막고 본다. 목걸이처럼 걸고 다니는 ID카드를 천천히 스크린한 뒤에야 겨우 가도 좋다는 눈짓을 한다. 하지만 어렵게 이 모든 과정을 통과하고 나면, 이들은 매우 친절하게 대해준다.
외국 취재진들을 당황케 하는 ‘만리장성’ 문화가 이들에게는 삶의 한 방식일 뿐이었다.
stylist@seoul.co.kr
☞ [포토] 코리안號 ‘종합 2위 목표’ 순항중
만리장성은 진나라 때 북방민족의 침입을 막기 위해 진시황이 지은 성벽이다. 지난해 4월 중국 고고학계가 발표한 총길이는 8851.8㎞. 명나라 때 증축한 뒤 현재도 연장 공사가 진행되고 있다. 처음에는 군사적인 목적이 컸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흉노족 등 유목문화와 농경문화를 구분 짓는 문화적 경계선으로 그 의미가 확장됐다. 변방문화로부터 중화문화를 지키기 위한 심리적인 ‘방어벽’ 역할까지 겸한 셈이다.
아시아의 최대 축제가 한창인 광저우에서 취재를 다니면서 느끼는 점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
고층 건축물 단지에 빙 둘러쳐져 있는 담장은 가도 가도 끝이 없다. 5m마다 부동자세로 서 있는 공안들은 성곽을 지키는 병사를 연상케 한다. 출입문은 대부분 하나라서 찾기도 쉽지 않고, 들어가려면 반드시 공안의 신원 확인이 필요하다. 중국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만리장성’ 문화다.
경기장은 더 심하다. 처음 수영장 취재를 갔을 때 일이다. 지도상으로 야구장 옆에 수영장이 있기에 야구장을 찾은 뒤 수영장을 가면 된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야구장을 따라 빙 둘러친 철조망은 끝이 없었다.
경기장 시설물은 옛 성곽이고, 철조망은 성곽을 지키기 위해 쌓은 장성이라고 보면 된다. 결국 지도상에서 바로 옆 건물로 보였던 경기장을 찾아가는 데만 한 시간이 걸렸다. 나가는 문과 들어오는 문이 분리돼 있어 한번 들어오면 빠져나가기도 쉽지 않았다.
심리적인 방어벽은 더 심해 보인다. 외국 손님들에게 친절하게 대하도록 교육받은 자원봉사단도 출입 제한에 대해서는 엄격하다. 절대 들여보낼 수 없다는 듯 일단 손으로 막고 본다. 목걸이처럼 걸고 다니는 ID카드를 천천히 스크린한 뒤에야 겨우 가도 좋다는 눈짓을 한다. 하지만 어렵게 이 모든 과정을 통과하고 나면, 이들은 매우 친절하게 대해준다.
외국 취재진들을 당황케 하는 ‘만리장성’ 문화가 이들에게는 삶의 한 방식일 뿐이었다.
stylist@seoul.co.kr
2010-11-18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