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광저우 국제 스포츠 아레나. 유재학 감독이 이끄는 한국 농구 대표팀과 일본의 준결승전이 열렸다. 4년 전 한국 농구는 ‘도하 참사’를 겪으며 나락으로 떨어졌다. 2002년 부산 대회에서 우승했던 실력이 무색하게 5위라는 치욕적인 성적표를 받아들었다. 이번에 결승전에 진출하면 8년 만에 명예 회복에 나서게 된다. 하지만 선수들의 컨디션이 좋지 않았다. 국내 최장신 센터 하승진(KCC·221㎝)은 종아리 부상 때문에 여전히 경기에 나서기 힘든 상태다. 여기에 조성민(KT)과 양희종(상무)도 설사로 고생 중이었다. 이래저래 선수들의 부담감은 컸다.
이미지 확대
김주성(왼쪽)이 25일 아시안게임 남자 농구 준결승전에서 일본의 수비를 피해 슛을 시도하고 있다. 광저우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김주성(왼쪽)이 25일 아시안게임 남자 농구 준결승전에서 일본의 수비를 피해 슛을 시도하고 있다. 광저우 연합뉴스
그래서였을까. 한국은 초반 일본에 시종일관 끌려다녔다. 1쿼터에 골밑 공격이 전혀 먹혀들지 않았다. 오세근(중앙대)의 초반 골밑슛과 이정석(삼성)·김성철(인삼공사)이 각각 3점포를 터뜨린 게 고작이었다. 다행히 2쿼터에서 한국은 추격전을 벌였다. 14-23으로 크게 뒤진 상황에서 9점을 한꺼번에 쓸어담으며 한숨을 돌렸다. 한국은 전반을 27-26, 1점 차로 앞선 채 마쳤다.
전반을 마친 뒤 유 감독은 “너희들이 가지고 있는 플레이를 못 하고 있다. 리바운드에 좀 더 신경 써라.”며 선수들을 독려했다. 후반 들어 한국은 점수 차를 벌리며 앞서가기 시작했다. 김주성이 든든하게 골밑을 지켰고, 외곽에서는 양희종과 조성민이 3점포를 번갈아 쏘며 맹활약했다. 수비에서는 맨투맨에서 지역방어로 바꾼 것이 효과를 봤다. 3쿼터는 46-38, 8점 차로 한국이 크게 리드했다. 마지막 4쿼터에 일본은 마지막 ‘발악’을 했다. 경기 종료 8초 전 이시자키 다쿠미의 3점슛으로 53-51까지 좁혀졌다. 위기였다. 그러나 양동근의 자유투 두개가 모두 림을 통과하면서 한숨 돌렸다. 일본은 반칙작전을 썼지만, 점수를 뒤집지 못했다.
유재학호는 55-51로 승리, 은메달을 확보했다. 아시안게임 무대에서 8년 만에 대망의 결승에 진출한 것. 이어 열린 경기에서 중국은 이란을 68-65로 꺾고 결승에 올랐다. 대표팀은 26일 밤 8시 중국과 금메달을 놓고 격돌한다.
광저우 황비웅기자 stylist@seoul.co.kr
2010-11-26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