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야구 최대 변수 ‘체력전’
후반기 순위 싸움이 ‘체력전’으로 치닫고 있다.

문제는 선수들의 체력이다. 지난해에는 9개 팀이 리그를 펼치면서 한 팀이 휴식을 취할 수 있었지만 올해는 10개 팀이 쉼없이 강행군을 계속했다. 최근 장마로 경기가 들쭉날쭉하면서 선수들의 컨디션은 더욱 엉망이 됐다. 장마 뒤 찜통 더위가 기승을 부리면 선수들의 피로감은 바닥을 칠 상황이다. 이뿐만이 아니다. 8월 경기 일정도 선수들의 체력에 또 다른 부담이 되고 있다. 비로 순연된 경기가 월요일 치러질 것이 확실한 데다 4일부터는 3연전이 아닌 2연전으로 전환된다.
KBO는 비로 순연된 경기를 추가 편성할 예정이나 올해는 11월 8일 ‘프리미어12’ 대회 개막을 앞둬 여유가 없다. 따라서 월요일 경기나 연속 경기(더블헤더)가 불가피해졌다. 감독 등 일선에서는 연속 경기보다 월요일 경기가 더 낫다는 의견을 보이고 있다.
KBO는 현장 소리를 반영해 8월부터 ‘월요일 경기’를 진행할 방침이다. 8월 첫주 실행위원회(단장회의)를 열어 일정 재편성을 논의한다. KBO 관계자는 “연속 경기는 최악의 경우에만 시행할 계획이다. 월요일 경기가 확정되면 8월부터 주말 경기가 취소됐을 경우에 한해 월요일 경기를 치를 예정”이라고 밝혔다.
월요일 경기는 이르면 다음달 10일 시작된다. 월요일 경기가 시행되면 해당 구단은 7연전의 고역을 피할 수 없어 투수 운용 등 후반기 레이스의 큰 변수가 될 전망이다. 여기에 새달 4일부터는 2연전에 돌입한다. 10개 팀이 2연전씩 일주일간 3팀을 상대해야 한다. 각 팀의 이동 횟수가 많아지고 이동 거리도 늘어난다. 선수들의 몸 관리가 더욱 중요해졌다.
경기 운영도 이전과는 사뭇 달라진다. 3연전의 경우 2승 1패를 목표로 나서 첫 경기 결과를 보고 위닝 시리즈를 모색한다. 하지만 2연전은 1승 1패를 염두에 두면서 1차전 승리 때는 2연승을 노리게 된다. 따라서 이때부터 연승, 연패 팀이 속출하기 십상이다.
현재 각 구단은 6선발 로테이션 운용과 백업 요원 낙점 등 선수 체력을 감안한 팀 운영을 두고 고심을 거듭하고 있다.
김민수 선임기자 kimms@seoul.co.kr
2015-07-28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