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프계도 얼린 ‘최순실 게이트’

골프계도 얼린 ‘최순실 게이트’

최병규 기자
입력 2016-12-20 22:24
업데이트 2016-12-21 00:3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내외 불확실성에 파문 겹쳐 대형 골프단 마케팅 대폭 축소

유소연·허미정도 재계약 실패
“이참에 거품 빼내야” 의견도


이미지 확대
유소연(오른쪽) 연합뉴스
유소연(오른쪽)
연합뉴스
연말이 다가오지만 소식은 좀체 들리지 않는다. 이른바 골프의 ‘스토브리그’는 시즌을 마친 뒤 지난 한 해, 혹은 지난 계약 기간에 대한 정당한 평가를 받는 스폰서와의 ‘밀당’이다. 그러나 꽁꽁 얼어붙었다. ‘최순실’이 불어 댄 콧바람에 지갑을 열어야 할 기업들은 잔뜩 몸을 웅크리고 있다.

올해는 후원 계약이 만료돼 새 둥지를 찾아야 스타급 선수가 유독 많다. 박인비(28)가 KB금융그룹과 계약을 끝내는 것을 비롯해 전인지(22)도 하이트진로와 계약 마지막 해다. 미국 무대 출발을 앞둔 박성현(23)도 넵스의 평가를 기다리고 있다. 그러나 아직 똑 떨어지는 대답을 듣거나 새 둥지를 찾은 이는 없다.

더욱이 하나금융그룹과 CJ, 한화, 롯데, KB금융, 신한금융그룹 등 대규모 골프단 ‘빅6’ 중 신규 선수를 영입한 곳은 한 군데도 없다. 오히려 축소가 대세다. 하나금융그룹은 최근 새로 선수를 뽑는 대신 3명을 내보냈다. 골프단 관계자는 “박세리를 포함해 미국여자프로골프(LPGA) 투어에서 뛰는 유소연(오른쪽), 허미정(왼쪽)과 재계약을 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골프단 축소의 표면적인 이유는 내년 경기에 대한 불확실성 때문이다. 최근 미국의 금리 인상 탓에 한국 경제에도 그림자가 드리웠고 올해 사상 최대 실적을 올렸음에도 국내 금융권이 골프 마케팅을 축소했다. 그러나 더 큰 이유는 최순실 게이트가 몰고 온 찬바람 때문이다. 그룹 총수가 청문회에 끌려가는 마당에 실무자들 입장에서는 마케팅의 첫 글자도 꺼낼 형편이 아닌 것이다. 한 기업체 실무자는 “환율, 유가 불안 등으로 대내외 경영 환경이 좋지 않은 상황에서 최순실 파문까지 더해져 내년 경영계획을 세우기 어려운 실정”이라며 “골프의 경우는 특히 불확실성 때문에 스폰서로 나서기 쉽지 않다”고 말했다. 이참에 거품을 빼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골프업계의 한 관계자는 “이제까지 몸값을 올리기 위해 확인되지 않은 소문을 퍼뜨리는 경우가 많았지만 지나친 욕심은 스폰서 주체인 기업의 외면을 받게 될 수도 있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고 꼬집었다.

최병규 전문기자

cbk91065@seoul.co.kr
2016-12-21 27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