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지 황제 추락시킨 ‘악마의 9번 커브’

루지 황제 추락시킨 ‘악마의 9번 커브’

임병선 기자
입력 2018-02-12 22:50
수정 2018-02-13 00:4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루지 황제’가 평창슬라이딩센터의 악명 높은 9번 커브 덫에서 허우적댔다.
이미지 확대
‘루지 황제’ 펠릭스 로흐(독일)가 지난 11일 평창 올림픽 슬라이딩 센터에서 열린 평창동계올림픽 루지 남자 1인승 경기에서 4차 시기 주행을 마친 뒤 고개를 숙인 채 괴로워하고 있다.  평창 AP 연합뉴스
‘루지 황제’ 펠릭스 로흐(독일)가 지난 11일 평창 올림픽 슬라이딩 센터에서 열린 평창동계올림픽 루지 남자 1인승 경기에서 4차 시기 주행을 마친 뒤 고개를 숙인 채 괴로워하고 있다.
평창 AP 연합뉴스
지난 11일 밤 10시 40분쯤 루지 남자 싱글 4차 시기를 앞두고 1~3차 시기 종합 1위를 달리던 펠릭스 로흐(28·독일)가 맨 마지막 주자로 나섰다. 8년 전 밴쿠버대회에 역대 최연소인 20세 205일 만에 우승을 차지했고 4년 전 소치에서 싱글과 팀 계주 2관왕에 빛나는 그의 대회 3연패를 수천명의 관중과 선수들, 취재진 중 누구도 의심하지 않았다.
무난히 네 번째 주행을 펼치며 금메달을 향해 순항하는 듯하던 그의 운명은 ‘악마의 구간’으로 통하는 9번 커브에서 순식간에 바뀌었다. 순간 집중력이 흐트러진 로흐는 발을 끌면서 9번 커브를 빠져나왔고, 썰매가 미끄러지면서 결국 날이 옆으로 틀어진 채 10번과 11번 커브를 가까스로 통과했다. 0.001초로 승부가 갈리는 루지에서 치명적인 실수였다.

9번 커브는 회전 각도가 10도 안팎이고 속도가 시속 120㎞에서 100㎞ 정도로 떨어지는 구간이다. 이 커브를 빠져나오면 직선 주로처럼 보이지만 실제론 미세하게 좌우로 휘어져 있는 10∼12번 커브가 연거푸 나온다. 이 구간을 무사히 통과하려고 9번 커브에서 속도를 줄이면 기록이 늦어지고, 속도를 줄이지 않으면 균형을 잃고 벽에 부딪힐 수도 있다.

결국 로흐도 이 덫에 걸려 4차 시기 48초109로 19위, 1∼4차 시기 기록을 합산한 최종 순위는 5위로 곤두박질했다. 그는 머리를 쥐어뜯으며 괴로워했고, 관중은 충격을 받아 할 말을 잃었으며, 은메달을 예상하다가 뜻밖의 행운에 금메달을 목에 건 데이비드 글라이셔(24·오스트리아)는 펄쩍 뛰었다.

루지 황제의 추락은 같은 트랙에서 열리는 봅슬레이와 스켈레톤에서 금메달을 노리는 한국 선수들에게 거는 기대를 부풀리는 대목이다. 남자 스켈레톤 윤성빈(24), 남자 봅슬레이 2인승 원윤종(33)-서영우(27)가 홈 이점을 살려 ‘악마의 구간’을 잘 빠져나와 끝내 목표를 이룰 수 있을지 주목된다.

임병선 선임기자 bsnim@seoul.co.kr

2018-02-13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