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크로아티아의 로브로 마예르(7번), 안테 부디미르(17번), 요슈코 그바르디올(20번)이 지난 10일 카타르 알라이얀 에듀케이션 시티 스타디움에서 열린 2022 카타르월드컵 8강 브라질전 승리 직후 뛰어가며 기쁨을 표하고 있다. 알라이얀 AP 연합뉴스
크로아티아가 14일 새벽(한국시간) 카타르 루사일 스타디움에서 치른 2022 카타르월드컵 4강에서 아르헨티나에 0-3으로 패하면서 마지막 경기로 3·4위전을 치르게 됐다. 8강에서 이번 대회 우승후보 브라질을 꺾은 만큼 아쉬움이 남는 결과다.
그러나 크로아티아의 4강은 지난 대회 황금세대가 준우승을 일군 이후 이룬 성과라는 점에서 팬들에게 희망을 줬다. 크로아티아는 2018년 러시아 대회에서 주축이었던 마리오 만주키치(36), 이반 라키티치(34), 베드란 촐루카(36), 다니옐 수바시치(38) 등이 은퇴했고 이번 대회에 나선 이반 페르시치(33), 루카 모드리치(37) 등은 기량이 떨어지는 나이에 접어들었다.
크로아티아는 월드컵 시작 전 스포츠 통계 업체 옵타가 꼽은 우승 확률 TOP10에도 못 들었다. 우승 확률은 브라질(15.8%), 아르헨티나(12.6%), 프랑스(12.2%), 스페인(9.1%), 잉글랜드(8.7%), 독일(7.8%), 네덜란드(7.2%), 포르투갈(5.8%), 벨기에(5.4%), 덴마크(3.5%)에 밀려 1.8%로 11위였다. 4강 진출 확률은 이들 10개국에 더해 우루과이(11.1%)에도 밀린 12위(10.9%)였다.


브라질의 네이마르(오른쪽)을 수비하는 그바르디올. 알라이얀 AP 뉴시스
월드컵에서야 좋은 성적을 거뒀지만 지나온 과정은 혹독했다. 월드컵 준우승에도 불구하고 이후 뚜렷한 성적을 거두지 못했고 유로2020에선 16강 진출에 그쳤다. 지난해 3월 치른 이번 월드컵 조별리그 예선 1차전에서도 슬로베니아에 0-1로 패하며 불안하게 출발했다.
그러나 황금세대의 빈자리에 후배들이 맹활약하면서 팀이 빠르게 안정을 찾았다. 세대교체 흐름 속에 페르시치와 모드리치 등 베테랑은 중심을 잡으며 후배들과 조화를 이뤘다. 공포의 수비로 영플레이어상 후보로 꼽히는 요슈코 그바르디올(20)을 비롯해 보르나 소사(24), 요시프 유라노비치(27), 마리오 파샬리치(27), 로브로 마예르(24), 도미니크 리바코비치(27) 등 20대 선수들은 이번 4강 진출에 핵심 역할을 했다. 토너먼트에서 두 번의 승부차기를 모두 승리로 이끈 리바코비치가 없었다면 크로아티아의 4강은 없었다.


브라질전 승부차기에서 골을 막아내는 리바코비치. 알라이얀 AP 뉴시스
누구나 자신이 은퇴한 다음을 걱정하기 마련이다. 그러나 이번 대회에서 마지막 불꽃을 태우는 모드리치는 든든한 후배들이 있어 걱정을 덜게 됐다. 젊은 선수들 역시 전설의 베테랑과 함께한 경험을 통해 다시 황금세대를 일굴 힘을 얻었다. 지난 대회 우승팀 프랑스와 달리 초반부터 크게 주목받지 못했지만 크로아티아는 축구 역사에 지워지지 않을 자신들만의 체크무늬를 남겼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