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리오넬 메시가 지난 14일(한국시간) 루사일 스타디움에서 열린 아르헨티나와 크로아티아의 2022 카타르월드컵 4강전에서 승리한 후 팬들에게 손을 흔들고 있다. 루사일 AP 뉴시스
‘축구의 신’ 메시가 진짜 라스트 댄스를 남겨 뒀다. 이번 대회를 앞두고 “위대한 꿈을 이룰 수 있는 마지막 기회”라고 선포한 그가 19일(한국시간) 치르는 2022 카타르월드컵 결승은 8년 전 아쉽게 준우승에 그친 메시가 어떤 결과를 거둘지 관심이 쏠리는 무대이다. 전 세계 팬들 역시 메시가 대관식을 치르느냐가 초미의 관심사다.
8년 전이나 지금이나 메시는 팀의 결승 진출까지 절대적인 역할을 했다. 2014년 대회에서 메시는 7경기를 치러 4골 1도움을 기록했다. 20대 중반을 보내며 2009~2012년 연속으로 발롱도르를 수상해 전성기에 오른 시기였고, 젊은 주장으로서 아르헨티나 결승까지 이끌었다. 조별리그에서 이란의 10백 수비를 홀로 뚫어내고 연장 후반 역전 결승골을 넣은 것은 당시 메시의 존재감을 상징하는 장면이었다.
이번 월드컵에서는 현재까지 6경기를 치렀는데 5골 3도움을 기록 중이다. 둘 다 공동 1위다. 30대 중반의 나이에 언제나 발롱도르 1순위였던 그도 서서히 내려오는 시기지만 이번에도 팀을 결승까지 이끌었다.


경기장에서 메시는 자신에게 수비가 몰리면 동료를 살리고, 기회가 오면 직접 해결한다. 더 좋아진 경기력은 1경기를 덜 치르고도 8년 전보다 더 좋은 기록에서 나타난다.
8년 전에는 혼자서 모든 것을 짊어지는 경향이 강했다면 이번에는 좋은 파트너도 있다. 4강에서 2골을 넣은 훌리안 알바레스(22)가 주인공이다. 메시와 알바레스는 아르헨티나가 넣은 12골 중 9골을 합작했다. 늘 주연이었던 메시가 때론 조연을 해도 좋을 환상의 조합이다.
국가대표로 우승 경험이 없었다가 지난해 코파아메리카에서 우승을 맛본 경험도 큰 자산이다. 무관의 징크스가 깨지면서 이제 두려울 것도 없다. 브라질월드컵 당시보다 비록 나이는 더 먹었지만 그때보다 더 강력해진 아르헨티나가 왕좌에 오르기까지 딱 1승이 남았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