첼시 모리뉴 감독, “축구도 전·후반 한번씩 작전시간 갖자!”

첼시 모리뉴 감독, “축구도 전·후반 한번씩 작전시간 갖자!”

입력 2014-08-25 00:00
수정 2017-04-24 16:4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조제 모리뉴 첼시 감독이 축구에도 경기를 중간에 멈추는 작전시간 제도를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모리뉴 감독은 25일(한국시간) 영국 대중지 데일리 미러와의 인터뷰에서 “축구 규정이 필요 이상으로 보수적”이라며 이같이 제안했다.

그는 “전반에 한 번, 후반에 한 번 감독이 경기를 멈추고 작전시간을 보내면 좋겠다”며 “그러면 경기 내용이 훨씬 좋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축구에서 감독은 사이드라인에서 계속 작전을 지시하지만 선수들에게 제대로 전달되지 않는 때가 잦다.

경기 중에 선수들과의 거리가 멀어 지시가 잘 전달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선수들의 주의를 한꺼번에 사로잡을 수 없어 조직적인 플레이에 대한 지시는 대표 선수를 통해 간접적으로 전달될 수밖에 없다.

모리뉴 감독은 작전시간이 효과를 거둔 사례로 루이스 판 할 감독이 이끄는 네덜란드의 2014년 브라질 월드컵 선전을 들었다.

그는 “판 할 감독은 심판이 물을 먹으라고 준 휴식시간을 작전타임으로 이용해 네덜란드의 전술 체계를 갑자기 바꿨고 이는 승리로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국제축구연맹(FIFA)은 브라질 월드컵 본선 때 선수들이 찜통더위에 탈진해 쓰러지지 않도록 경기를 중간에 멈추고 물을 먹도록 했다.

이런 휴식은 더위에 약한 선수뿐만 아니라 전술 변화로 경기 흐름을 뒤트는 역량을 지닌 감독들에게도 매우 유용한 시간이었다.

한편 모리뉴 감독이 이끄는 첼시는 전날 런던 스탬퍼드 브리지에서 열린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 2라운드 홈경기에서 레스터시티를 2-0으로 꺾고 2연승을 달렸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