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새 금맥 스피드스케이팅은

한국 새 금맥 스피드스케이팅은

입력 2010-02-18 00:00
수정 2010-02-18 00:0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한국 동계종목 메달의 ‘보물창고’에 스피드스케이팅이 추가됐다. 세계에서 ‘편식’으로까지 불리며 얕봤던 쇼트트랙의 편중 마감은 반가운 현상이다.

이미지 확대
1924년 프랑스 샤모니 동계올림픽 때 정식종목으로 채택된 스피드 스케이팅은 기록으로 승부를 가린다. 빙속(氷速)은 얼음 위에서 스케이트를 지쳐 속도로 승부를 겨루는 경기라는 뜻을 줄인 말. 서로 방해하지 않으면서 최상의 기록을 내도록 2명이 400m 길이의 타원형 링크에서 500·1000·1500·5000·1만m(남자부만 치름)를 겨룬다. 상대방이 잘할수록 기록이 좋아지는 만큼 대진운이 중요하다.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의 준말인 쇼트트랙은 가로 60m 세로 30m인 링크의 타원형 트랙(111.12m)에서 누가 결승선을 먼저 통과하느냐로 순위를 가린다. 링크 크기 때문에 쇼트트랙은 머리싸움, 스피드 스케이팅은 체력 싸움이 승부의 열쇠다.

두 종목은 특성도 다르다. 스피드 스케이팅에선 직선주로가 길어 최상의 속도를 내도록 일자 모양이다. 체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뒷날굽이 분리되는 클랩 스케이트를 신는다. 반면 쇼트트랙은 곡선주로가 길어 코너워크가 중요하다. 그래서 스케이트날이 안으로 미세하게 휘어져 있다.

결승선 판독 기준도 차이가 있다. 스피드 스케이팅의 경우 경기장 위에서 사진을 찍어 순위를 가리기 때문에 날차기가 효과적이다. 쇼트트랙은 빙판에 설치된 센서로 순위를 정하기 때문에 빙판에서 떨어지면 안 돼 지혜가 필요하다. 한국이 1998년 일본 나가노올림픽 이후 재치 만점의 들이밀기 전술로 짭짤한 재미를 보고 있다. 치열한 신경전과 몸싸움을 벌여야 해 전술적인 요소가 관전 포인트다. 직선주로에서 외곽으로 크게 돌아서 선두를 제치는 ‘호리병 주법’도 한국에 노다지를 안기며 세계를 놀라게 했다.

쇼트트랙은 1990년대 북미지역에서 출발했다. 1992년 프랑스 알베르빌 올림픽부터 정식 종목으로 채택됐다. 총 8개의 금메달이 걸린 주요 종목이다. 500m, 1000m(이상 4명), 1500m(6명), 3000m(6~8명)의 선수들이 조 편성돼 예선, 준준결승, 준결승, 결승을 거치며 단계별로 1·2위만 진출한다. 아시아 선수들이 쇼트트랙에는 강한 데 비해 스피드 스케이팅에는 상대적으로 취약했지만 이젠 이마저 뒤집히게 됐다.

송한수기자 onekor@seoul.co.kr
2010-02-18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