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밴쿠버 별을 향해 뛴다] (6) 여자 스피드스케이팅 간판 이상화

[밴쿠버 별을 향해 뛴다] (6) 여자 스피드스케이팅 간판 이상화

입력 2010-01-21 00:00
수정 2010-01-21 00:4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男선수와 매일 연습 女빙속 첫 금맥 도전 ”

“그동안 올림픽만 보면서 뛰었던 만큼 빨리 시작했으면 좋겠어요. 얼른 끝내고 푹 쉬고 싶어요.” 스피드스케이팅 ‘여자부 대들보’ 이상화(21·한국체대)가 전설을 쓸 채비를 마쳤다. 이상화는 올림픽 전 마지막 대회에서 대표팀 ‘큰오빠’ 이규혁(서울시청)과 나란히 정상에 오르며 올림픽 금빛 기대를 고조시켰다. 지난 17일 막을 내린 세계스프린트선수권대회에서 여자부 종합우승을 차지한 것. 한국 여자선수 최초의 종합우승이었다.

이미지 확대
이상화
이상화
이상화는 “주변에서 ‘네가 역사를 다시 썼다.’고 칭찬해 주시더라고요. 저도 기분은 좋은데 아직 올림픽이 남았으니 긴장을 놓으면 안될 것 같아요.”라고 말했다. 큰 일을 앞두고 조심조심하는 기운이 느껴졌다.

●세계스프린트선수권 여자부 최초 종합우승

500m 세계기록 보유자인 예니 볼프(독일)를 누르고 차지한 우승이었다. “제가 금메달을 땄으니 올림픽 땐 걔네들이 더 벼르고 나올 거예요. 예니 볼프가 ‘이상화 때문에 더 분발해야 한다.’고 인터뷰에서 말했던데요?”라고 깔깔 웃는다. 톱 스케이터를 고개숙이게 한 짜릿함이 전해진다.

이미지 확대
금빛질주란 이런 것 한국 여자 스피드스케이팅의 간판스타 이상화가 지난 17일 일본 오비히로에서 열린 세계스프린트선수권대회 500m 레이스에서 역주하고 있다.  오비히로 AP 특약
금빛질주란 이런 것
한국 여자 스피드스케이팅의 간판스타 이상화가 지난 17일 일본 오비히로에서 열린 세계스프린트선수권대회 500m 레이스에서 역주하고 있다.
오비히로 AP 특약
올림픽을 앞둔 각오를 물어도 ‘금메달을 따겠다’, ‘여자부 역사를 새로 쓰겠다.’ 같은 호기는 부리지 않는다. 그냥 “상위권 선수들과 기록을 비슷하게 가져가고 싶어요.”라는 선에서 입을 꽉 닫는다. 올림픽이 어떤 대회인지 잘 알기 때문이란다.

●“열심히 기록만 줄이자는 생각으로 버텼죠”

사실 이상화는 2006토리노올림픽 때도 유망주로 주목을 받았다. 열 일곱 소녀였던 이상화에겐 너무 부담스러운 기억. “토리노 때는 주변에서 부담주고 그러니까 ‘메달 따야되는건가?’ 싶어서 긴장도 많이 했죠. 실력도 부족했는데…. 어려서 좀 생각이 없었던 것 같아요.”라고 회상한다. 그래도 500m 5위로 여자부 역대 최고성적을 거뒀다. 동메달과 0.17초 차이였다. 아쉬움도 있었지만 훌훌 털어버렸다. “열심히 기록만 줄이자는 생각으로 여기까지 왔어요. 이번에 좋은 일이 있으면 되겠죠.”라고 대꾸한다.

지난 올림픽보다 훨씬 좋은 기량을 보이는 지금은 오히려 담담하다. “지금은 톱 클래스 선수들과 (기록이) 같이 가고 있으니까 여유가 생긴 것 같아요.” 세계 정상급과 어깨를 나란히 할 만큼 부쩍 성장했기에 가능한 여유다.

두꺼운 외투를 껴입고 발을 동동 굴러도 차가운 입김이 쏟아지는 태릉 스케이트장에서 이상화는 콧잔등에 땀이 맺힐 정도로 쉼없이 달린다. 세계정상급 남자 단거리 선수인 이규혁-이강석-문준-모태범이 빙판을 가르고, 맨 꽁무니에는 이상화가 악착같이 뒤쫓는다. “다른 여자 선수들과 기록차이가 많이 나서 거의 오빠들과 연습을 해요. 워낙 잘 이끌어줘서 기량이 더 좋아지는 것 같아요.”라는 설명.

●초반 스타트 중점보완… 살짝 삐끗하면 메달색 달라져

왼팔 움직임을 최소화한 상태에서 오른팔을 앞뒤로 흔들며 리듬을 맞춰 코너를 돈다. 안정적인 자세와 쭉쭉 뻗는 스트로크가 일품이다. 그렇게 지치지도 않고 꼬박 2시간을 달린다. 보완점을 묻자 스타트와 피니시 때 중심이동을 꼽는다. 단거리인 만큼 초반 스타트가 굉장히 중요하다고. 셀 수 없이 연습한 스타트지만 그때그때 다르다. 살짝 삐끗하면 바로 메달 색깔이 달라진다.

“훈련이 너무 힘들고 지쳐 빨리 대회가 끝났으면 좋겠다.”고 할 만큼 그동안 많은 땀과 눈물을 흘렸다. 덕분에 스케이팅 감각에 한층 물이 올랐다. 4년동안 절치부심 준비해온 두 번째 올림픽, 메달이 성큼 가까이 온 듯 하다.

이봉준 서울시의원 “노들고가, 2026년에는 반드시 철거 시작돼야”

서울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회 이봉준 의원(국민의힘, 동작구 제1선거구)이 지난 7일 서울시 도로계획과 관계자들과 가진 면담에서 한강대교 남단에 위치한 ‘노들남북 고가차도’를 2026년에는 반드시 철거에 착수해야 한다는 입장을 강력히 전달하고, 이에 대한 긍정적 검토와 예산 반영을 서울시에 촉구했다. 노들고가는 애초 2019년 서울시의 ‘백년다리 조성 추진계획’에 따라 철거가 계획됐으나, 2022년 1월 국가상징거리 조성계획과 연계한 마스터플랜 재검토에 따라 철거가 중단된 상태다. 현재 서울시는 약 143억원 규모의 철거 비용을 추산하고 있으며, 철거가 교통에 미칠 영향을 다시 분석 중이다. 현재 서울시는 이와 함께 ‘노들 글로벌 예술섬’ 조성사업에 큰 관심과 예산을 투입하고 있으며, 노들섬을 서울의 대표적인 문화예술 중심지로 탈바꿈시키겠다는 계획을 추진 중이다. 이 의원은 “서울시가 의지를 갖고 시작한 노들고가 철거가 멈춰 있어 매우 안타깝다”면서 “노들섬에서 바라보는 한강과 한강대교 남단의 경관이 완전히 달라질 수 있는 만큼, 서울시는 다시 과감하게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이 의원은 “만약 철거가 추진된다면, 인근 동작구 주민들이 교통 불편을
thumbnail - 이봉준 서울시의원 “노들고가, 2026년에는 반드시 철거 시작돼야”

조은지기자 zone4@seoul.co.kr
2010-01-21 2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