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소비자 구매액의 51% 신용카드 결제…주요국중 가장 높아

韓 소비자 구매액의 51% 신용카드 결제…주요국중 가장 높아

입력 2015-01-26 13:17
업데이트 2015-01-26 13: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미국 28%, 호주 18%, 독일 7%, 네덜란드 4%

한국의 신용카드 이용 비중(금액 기준)이 주요국 가운데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4년 지급수단 이용행태 조사결과 및 시사점’에 따르면 한국에선 물건이나 서비스 구매 금액의 50.6%가 신용카드로 결제된다.

체크·직불카드 결제 비중은 19.6%였고 현금과 계좌이체가 각각 17.0%, 12.4%를 차지했다.

이는 한은이 지난해 6∼7월 전국의 성인 남녀 2천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다.

한은의 분석 결과 한국의 신용카드 결제 비중은 7개 비교 대상국인 프랑스(3%), 네덜란드(4%), 오스트리아(5%), 독일(7%)보다 월등히 높은 편이다.

비교 대상국 가운데 한국 다음으로 신용카드 결제 비중이 높은 곳은 캐나다(41%)였고 미국과 호주가 각각 28%, 18% 수준이다.

금액 뿐만 아니라 건수 기준으로도 한국의 신용카드 이용 비중(34%)은 미국(19%), 캐나다(19%), 호주(9%) 등 주요국에 비해 높았다.

그만큼 신용카드 ‘쏠림 현상’이 심하다는 뜻이다.

한국의 현금 결제 비중(금액 기준)은 프랑스(15%) 다음으로 낮았으며 오스트리아(65%)와 독일(53%)에 훨씬 못 미쳤다.

체크·직불카드 결제 비중 역시 네덜란드(60%), 프랑스(43%), 캐나다(30%), 독일(28%) 등에 비해 낮은 편이다. 미국은 현금·직불카드·신용카드 결제 비중이 23∼28%로 고르게 분포했다.

한국의 신용카드 보유 비율(89%)은 주요국 가운데 가장 높았다.

캐나다의 보유 비율이 81%로 한국 다음이었고 네덜란드(62%), 미국(67%)이 뒤를 이었다. 독일에선 3명 중 1명 정도만 신용카드를 갖고 있다.

한국의 직불카드 보유 비율은 96%로 네덜란드(99%), 캐나다(97%)보다는 낮지만 독일(94%), 호주(93%), 프랑스(83%)보다 높았다.

한국 소비자는 1인당 평균 1.9장의 신용카드를 보유하고 있으며, 실제로는 1.6장을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체크·직불카드는 평균 1.7장을 갖고 있으나 집중적으로 1장만을 쓰는 경우가 많았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