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사 지난해 장사 잘했다

건설사 지난해 장사 잘했다

입력 2015-01-29 23:48
업데이트 2015-01-30 02:5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부동산 규제 완화 정책 힘 입어 현대·대우 등 영업익 큰폭 증가

국내 주요 건설사들이 지난해 정부의 부동산 규제 완화 정책으로 짭짤한 수익을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해외 수주 선전도 한몫했다. 건설사들은 올해 목표를 상향조정한 뒤 국내 주택 분양을 강화하는 한편 해외 수주에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다.

삼성물산은 29일 지난해 영업이익이 6520억원으로 전년보다 50.6% 증가했다고 ‘2014년 경영실적’을 발표했다. 건설과 상사를 합친 매출은 전년보다 0.04% 증가한 28조 4460억원, 당기순이익도 7.5% 증가한 2860억원으로 집계됐다. 건설부문 매출은 10.7% 증가한 14조 8740억원, 영업이익은 무려 63.5% 늘어난 5690억원이었다. 전체 영업이익의 87.3%를 건설에서 끌어낸 셈이다. 토목 사업 담당 시빌(civil)사업부의 매출은 전년보다 96.8% 증가한 4조 8110억원에 달했다.

현대건설도 현대차그룹에 편입한 이후 국내외 수주세에 힘입어 성장세를 이어갔다. 지난해 매출은 17조 3870억원, 영업이익 9589억원으로 전년 대비 각 24.7%, 20.9% 증가했다. 건설부문은 매출과 영업이익에서 삼성물산을 제쳤다.

대우건설은 지난해 4155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영업이익 규모로는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최대실적이다. 아프리카 현장 원가율 개선 등으로 당기순이익도 1073억원으로 흑자로 돌아섰다. 매출은 17.1% 늘어난 9조 8531억원으로 사상 최대다. 2013년에는 2531억원의 적자를 냈다.

GS건설 역시 지난해 510억원의 영업이익을 내며 1조원(9373억원)에 달했던 적자를 1년 만에 흑자로 돌려세웠다. 지난해 매출은 9조 4800억원이었으며 서울 방배·반포 등 주요 재개발·재건축 수주를 따내면서 신규 수주는 전년보다 24.5% 늘어난 11조 2160억원으로 2011년 이후 3년 만에 10조원을 넘겼다.

강주리 기자 jurik@seoul.co.kr
2015-01-30 2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