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랑TV가 2015년 분단 70주년을 맞아 한반도 통일에 대해 조명했다.

미국, 중국, 일본, 그리고 러시아 등 한반도 통일의 직-간접적으로 역할을 할 수 있는 주변 국가들은 과연 한반도 통일을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 아리랑TV(사장 방석호)가 남과 북, 당사자의 시선이 아닌 주변 4개국 석학이 말하는 통일의 당위성과 통일로 가는 구체적인 방법론과 이를 통한 한반도 통일의 필요성을 전 세계 시청자들에게 알리고자 한다.

미국 행정부에서 대북 전문가를 지낸 수 미 테리 (콜럼비아대 웨더헤드 동아시아연구소 연구원)와 빅터 차 (조지타운대 교수, 전 NSC 아시아담당국장), 프랭크 자누지 (맨스필드재단 사무총장), 그리고 찰스 암스트롱 (콜럼비아대 교수) 등이 밝히는 미국 행정부의 한반도 정책, 양시유 (중국국제문제연구원), Yan Xuetong (칭화대 교수)가 밝히는 통일에 대한 중국의 입장 등 어디에서도 들을 수 없는 깊이 있고 솔직한 이야기가 펼쳐진다.

1945년 광복 이후 문제 해결을 위해 임의로, 임시적으로 그어진 군사분계선은 그대로 70년 동안 이어지고 있다. 주변국 갈등과, 냉전의 희생양이 된 한반도는 지난 70년 동안 수많은 아픔과 막대한 정치, 경제적 손실을 입고 있다. 세계 유일의 분단국으로 남은 한반도의 통일을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이유는 무엇일까?

2015년, 통일 25주년을 맞는 독일. 한반도 보다 먼저 통일을 이룬 독일의 사례를 통해 한반도의 이상적인 통일 방법과 통일 이후, 진정한 통합을 이루기 위해서 풀어야 할 과제를 알아본다.

통일 이후, 동서 소득 격차와 실업, 문화적 차이로 어려움을 겪었던 독일. 하지만 통일 이후 25주년이 된 독일은 세계4위의 경제대국이자 EU의 중심국이 됐는데, 과연 그 비결은 무엇일까? 이를 통해 한반도가 통일을 이룩하기 위해 준비해야 할 점은 무엇인지, 그리고 통일한국의 위상은 어느 정도가 될지, 4개국 석학에게 들어본다.

8일 목요일 오후 7시 방송.

연예팀 seoulen@seoul.co.kr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