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트레스” 학생 1명당 감시카메라 1대 설치된 中대학 강의실

“스트레스” 학생 1명당 감시카메라 1대 설치된 中대학 강의실

신진호 기자
신진호 기자
입력 2024-03-17 15:14
업데이트 2024-03-17 15: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중국 허베이성 바오딩대학의 한 강의실에 설치된 카메라.  바이두 캡처
중국 허베이성 바오딩대학의 한 강의실에 설치된 카메라.
바이두 캡처
중국의 한 대학 강의실에 수십대의 감시카메라가 설치돼 학생들이 스트레스를 호소하고 있다.

17일(현지시간)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중국 본토 매체 펑파이를 인용, 허베이성 바오딩대학교에서 촉발된 ‘교실 내 감시카메라’ 논란을 보도했다.

한 학생이 몰래 촬영한 영상을 보면 감시카메라가 서예 수업이 이뤄지는 강의실 천장에 줄지어 매달려 있다. 거의 학생 1명당 감시카메라가 1대씩 설치된 모양새다. 감시카메라 때문인지 몰라도 학생들은 수업에 집중하는 모습이다.

한 학생은 펑파이에 “스트레스가 너무 심하다”라고 털어놨다.

학교 관계자는 카메라가 여러 대 장착된 강의실이 있는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이는 디지털 교육 자재일 뿐이라고 논란을 일축했다. 그는 “서예 수업을 위한 디지털 교육 장치다. 천장에 매달린 카메라는 책상의 터치 패널과 결합돼 작동한다”라고 설명했다.

다른 매체 보도에 따르면 해당 설비 담당자는 교사가 디지털 화면을 통해 학생들의 붓글씨 과정을 실시간으로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카메라가 설치됐다고 전했다.

실제로 관련 영상에는 서예 연습 중인 학생들 옆에 설치된 디지털 화면에 그들이 쓴 글씨가 표시되고 있었다.

학교 관계자는 해당 카메라가 다른 수업 중에는 작동하지 않는다면서도 다만 시험기간에 한해 학생들의 부정행위 방지 차원에서 사용되기도 한다고 설명했다.

해당 강의실을 놓고 중국 누리꾼들 사이에서도 갑론을박이 오갔다. “디지털 감옥이냐”며 우려를 표한 누리꾼이 있는가 하면 다른 누리꾼은 대학 측의 설명대로 “감시용이 아닌 멀티미디어 교육용 시스템이다. 내가 다니는 대학에도 비슷한 설비가 있다”고 밝혔다.

SCMP는 중국에 감시카메라 사용을 규제하는 특별법이 없다면서 학교나 집에서 감시카메라로 학업 태도 등을 지켜보는 일이 드문 일이 아니라고 전했다.

지난 1월 한 학부모는 9살 아들의 공부 시간을 매일 두어인(틱톡 중국판)에 생중계했고, 이를 수백명이 시청했다. 이 학부모는 공부 시간 생중계 이후 아이가 주의가 산만해지는 것이 줄어들고 숙제를 전보다 2~3배 빨리 끝내고 있다며 만족스럽다고 말했다.
신진호 기자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