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한 글자씩 쓸 때마다 아이 만나는 듯… 그리움은 늘 제자리”

“한 글자씩 쓸 때마다 아이 만나는 듯… 그리움은 늘 제자리”

정서린 기자
정서린 기자
입력 2017-08-24 22:32
업데이트 2017-08-24 22: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세월호 희생자 이혜경양 어머니 유인애씨 시집 발간

엄마의 꿈은 작고 고요했다. 딸 둘을 키워 내면 시골집에 책을 가득 들여놓고 읽으며 책 한 권을 세상에 남기는 것. 엄마 꿈의 절반은 이뤄졌다. 시집 한 권을 펴내면서다. 하지만 그 자리에 들어찬 것은 기쁨도 뿌듯함도 아니다. 두려움이고 죄책감이다.
이미지 확대
지난 22일 오후 경기 안산시 단원구 세월호 합동분향소에서 만난 유인애씨는 “혜경이가 시집을 보면 말갛게 웃으며 ‘엄마, 잘했어’ 할 것 같다”면서도 “아이에 대해 쓰는 것도 나 위로받자고 하는 것 같아 미안하다”고 했다. 최해국 선임기자 seaworld@seoul.co.kr
지난 22일 오후 경기 안산시 단원구 세월호 합동분향소에서 만난 유인애씨는 “혜경이가 시집을 보면 말갛게 웃으며 ‘엄마, 잘했어’ 할 것 같다”면서도 “아이에 대해 쓰는 것도 나 위로받자고 하는 것 같아 미안하다”고 했다.
최해국 선임기자 seaworld@seoul.co.kr
지금 여기 없는 딸에게 가닿으려는 안간힘, 하지만 가닿지 못하는 고통이 64편의 시에 담겼다. 세월호 참사로 막내딸을 잃은 유인애(54)씨가 펴낸 시집 ‘너에게 그리움을 보낸다’(굿플러스북)에서다. 그는 2014년 4월 18일 새벽, 생존자 명단에 있다가 사망자 명단으로 옮겨진 경기 안산 단원고 2학년 2반 이혜경양의 엄마다. 세월호 참사 이후 작가들이 희생자들을 기리는 시집, 산문집, 소설 등을 활발히 펴냈으나 세월호 유족이 문학적 형식으로 발화한 것은 처음이다.

“나는 문학은 잘 몰라요. 여느 시인, 소설가분들이라면 문장의 깊이나 아름다움을 고민하며 쓰셨겠죠. 저는 그저 아이를 그리는 마음으로 썼어요. 한 글자 쓸 때마다 혜경이를 다시 한번 기억하게 되고 사랑하게 되니까요. 아이를 오롯이 만날 수 있는 순간은 쓰는 순간밖에 없는 것 같더라고요.”

20년 넘게 집안 살림과 육아, 직장 생활을 이어 온 혜경이 엄마가 시를 쓴 건 세월호 참사 수개월 뒤였다. ‘차라리 아이 곁으로 갔으면’ 하는 절망으로 불면의 밤을 보내던 그에게 여동생이 말했다. “언니, 잊지 못하는 사랑을 글로 써 봐. 치유가 될 것 같아.”
이미지 확대
세월호 희생자 이혜경양
세월호 희생자 이혜경양
평일엔 안산 반월공단의 한 공장 사무직으로, 주말엔 마사회 발매직 아르바이트로 주말도 없는 워킹맘인 그는 가족들이 모두 자는 밤이면 혜경이 방으로 찾아들었다. 밤 11시부터 새벽 1~2시까지 한 줄이라도 썼다. 지난 3년간 120여편의 시는 그렇게 쓰여졌다.

“시는 덕지덕지 이야기를 덧붙이지 않고 마음을 가장 도드라지게 압축해 표현할 수 있어서 좋았어요. 한 번도 써 본 적 없지만 진심으로 밀고 나갈 수 있었고요. 동생 말대로 고통이 덜어지지는 않았어요. 시 쓰는 과정이 계단을 오르내리는 것처럼 눈으로 가늠할 수 있는 게 아니잖아요. 쓰면서 아이 생각에 울고, 울고 나면 마음이 가라앉지만 돌아서면 늘 그 자리죠. 아직도 혼자 있는 순간이면 마음은 늘 그날로 가요. 가서 수십 번이고 아이를 구해 오는 상상을 해요.”
이미지 확대
슬픔과 그리움, 죄책감과 고통이 마구잡이로 엉기는 일상과 마음은 그대로 시로 옮겨졌다. 딸을 잃은 봄은 이제 밀치고 싶은 계절이 됐다(오지마소, 오지마소./꽃피는 계절 어이없이 흩날려 보낸/딸의 흔적 고리잖소), 딸이 해맑게 웃으며 ‘아, 달다!’ 하며 먹던 과즙 뚝뚝 떨어지는 수박은 여름이 내 가도록 눈길 한 번 주지 않는 과일이 됐다(이 여름날/우리 긍이 엄청 먹고 싶을 텐데/이제 그만 여행 끝내고 오너라).

‘넌 멍에와 굴레를 벗어나면 안 돼./칭칭 동여매어 할퀴고 쑤시고 처박혀야 돼./아픔, 고통, 학대, 그 무엇이든/고스란히 소리 없이 받아야 돼./(중략)//걱정 마./내 새끼 그리워하며 내 몸을 쥐어짜는/나날의 굴레를 풀지는 못하니까./마음에 한줌씩 덕지덕지 씌워주렴./그래야 내 몸이/미안하고 죄스러움을 조금은 씻을 것 같으니.’(나에게)

책을 펴내는 게 꿈이었던 엄마는 시집을 낸 것조차 죄스럽다고 했다. “시집을 통해 아이를 한 번 더 되돌아보는 게 아이에게 유일하게 해 줄 수 있는 것이라 생각했어요. 하지만 세월호 참사를 안 좋게 보는 분도 많으시잖아요. 그래서 책을 보고 ‘아이를 상업화한 게 아니냐’는 소리를 듣지나 않을까 심란하고 두려워요. 그저 부모님들이 ‘이게 다 내 마음’이라고 읽어 주셨으면 좋겠어요.”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2017-08-25 27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