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홀대받던 소비, 시대의 중심에 서다

홀대받던 소비, 시대의 중심에 서다

김성호 기자
입력 2017-09-01 17:30
업데이트 2017-09-01 17: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소비의 역사/설혜심 지음/휴머니스트/496쪽/2만 5000원
이미지 확대
1910년대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해 대량생산 체제를 구축한 미국 포드 자동차의 생산 라인. 상류사회에서만 누릴 수 있었던 ‘소비의 행복’은 대량생산체제가 도입되면서 모든 대중들로 확산됐고, 인권과 소비자의 주권의식 발달은 상품 거부와 불매운동, 저항의 연대를 낳기도 했다. 휴머니스트 제공
1910년대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해 대량생산 체제를 구축한 미국 포드 자동차의 생산 라인. 상류사회에서만 누릴 수 있었던 ‘소비의 행복’은 대량생산체제가 도입되면서 모든 대중들로 확산됐고, 인권과 소비자의 주권의식 발달은 상품 거부와 불매운동, 저항의 연대를 낳기도 했다.
휴머니스트 제공
‘인간의 욕구 충족에 필요한 물자나 용역을 이용하고 소모하는 일’. 백과사전에서 쉽게 찾을 수 있는 ‘소비’의 정의이다. 그런 단견적 ‘소비’ 인식은 오래도록 학문의 영역에서도 별반 다르지 않았다. 경제학에선 소비를 뺀 생산과 공급에 집착하기 일쑤였고, 소비의 영역을 애써 축소하거나 폄하한 사가들의 언사도 넘쳐난다. 카를 마르크스는 소비를 인간관계나 사회적 성격을 은폐하는 ‘상품 물신숭배’라 칭했다. 심지어는 잘 먹고 잘 입는 등의 소비 욕구를 ‘인간적 기능’이 아닌 ‘동물적 기능’으로까지 몰아붙였다.
이미지 확대
1763년 아프리카 흑인들을 강제로 잡아 수송하던 노예무역선의 내부 모습. 상류사회에서만 누릴 수 있었던 ‘소비의 행복’은 대량생산체제가 도입되면서 모든 대중들로 확산됐고, 인권과 소비자의 주권의식 발달은 상품 거부와 불매운동, 저항의 연대를 낳기도 했다. 휴머니스트 제공
1763년 아프리카 흑인들을 강제로 잡아 수송하던 노예무역선의 내부 모습. 상류사회에서만 누릴 수 있었던 ‘소비의 행복’은 대량생산체제가 도입되면서 모든 대중들로 확산됐고, 인권과 소비자의 주권의식 발달은 상품 거부와 불매운동, 저항의 연대를 낳기도 했다.
휴머니스트 제공
하지만 이제 소비의 영역은 엄청난 스펙트럼을 갖는다. 단순히 물건을 사고 쓰는 행위에 머물지 않는다. 물건에 대한 상상력과 관계 맺기를 비롯해 편 가르기 같은 사회적 역학을 포함하며 마케팅, 쇼핑, 재활용에까지 미친다. 2012년 영국 역사학자 프랭크 트렌트만의 선언은 그 대표적 반증이다. “‘소비하는 인간’이 ‘만드는 인간’을 대체했다.”
이미지 확대
연세대 사학과 교수가 쓴 책은 그 선언과 궤를 같이한다. 일상의 공간에서 지나치기 일쑤인 ‘소비’의 문제를 정색하고 역사의 중심에 놓았다. 소비하는 인간 ‘호모 컨슈머스’의 역사를 욕망과 유혹, 소비, 확장, 거부의 5개 카테고리로 나눠 풀어내는 흐름이 독특하다.

근대 이후 탄생한 소비자에서부터 시작한 이야기는 지금의 사회까지 전방위로 뻗친다. 온 동네를 돌아다니던 돌팔이 약장수, 원조 화장품 아줌마 에이본 레이디의 방문판매, 최초의 대량판매와 할부제를 도입한 싱어사의 재봉틀, 소비생활을 확 바꿔놓은 백화점과 쇼핑몰, 홈쇼핑…. 그 궤적에서 만나게 되는 역사적 사실들이 흥미롭고 신선하다.

1824년 상점을 열고 기성복을 팔기 시작한 포목상 피에르 파리소는 상류사회에 국한했던 ‘소비의 행복’을 대중으로 확산한 계기로 기록된다. 상류층 사람들의 복장을 저렴한 남성용 기성복으로 만들어 하급 공무원과 소상인, 노동자들에게 팔면서 모든 계층에 대량복제된 ‘명품세상’을 안겨준 것이다. 그런가 하면 화장품 회사 에이본의 등장은 소비의 영역에 여성을 끌어들인 첫 사건이다. 여성이 돈을 벌 기회가 없었던 19세기 말 에이본사의 판매원 자리는 여성이 사업에 진입해 소비 능력을 갖게 하는 유일한 기회였다고 한다.

노예제 폐지의 일환으로 일어난 설탕 거부운동과 흑인들의 불매운동, 미국의 국산품 애용운동처럼 소비를 저항이나 연대와 연결한 사례들도 눈에 띈다. 설탕, 쌀, 면화 등 노예노동을 통해 생산된 상품들에 대한 거부를 촉구한 윌리엄 폭스의 이른바 ‘팸플릿 사건’은 대표적이다. 당시 설탕에 거의 중독되어 있던 영국 사회에서 노예가 생산하는 설탕을 섭취하는 일을 인간을 잡아먹는 ‘식인행위’에 비유해 설탕거부운동을 촉발했다. 19세기 말부터 남부 아프리카로 유입, 판매된 서구산 ‘백색 비누’의 사례도 흥미롭다. 검은색을 띤 것들이 차별받고 배제되던 사회에서 ‘백색 비누’는 보상의 소비 수단이었고 ‘백색 신화’는 지금도 여전히 위생과 미용 업계에서 지배적인 이데올로기로 작용하고 있다.

수집 논쟁과 병적 도벽, 성형 소비, 노년층 소비…. 소비를 ‘삶의 편의성을 넘어 본질적으로 인간의 욕망을 둘러싼 행위’로 규정한 저자는 이렇게 쓰고 있다. “소비는 사회의 일반적인 흐름을 거부하거나 그 견고한 구조에 균열을 내는 저항의 도구로 사용되기도 한다.”

김성호 선임기자 kimus@seoul.co.kr
2017-09-02 1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