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년 만에 ‘헬멧’ 벗는다…‘일렉트로닉 듀오’ 다프트 펑크 해체

28년 만에 ‘헬멧’ 벗는다…‘일렉트로닉 듀오’ 다프트 펑크 해체

김지예 기자
김지예 기자
입력 2021-02-23 15:14
수정 2021-02-23 17:3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그래미 6회 수상 등 ‘EDM 전설’

다프트 펑크의 멤버 토마스 방갈터(왼쪽)와 기 마누엘 드 오맹 크리스토가 2013년 로스앤젤레스에서 포즈를 취하는 모습. 이들은 23일 28년만에 해체를 선언했다. AP 연합뉴스
다프트 펑크의 멤버 토마스 방갈터(왼쪽)와 기 마누엘 드 오맹 크리스토가 2013년 로스앤젤레스에서 포즈를 취하는 모습. 이들은 23일 28년만에 해체를 선언했다. AP 연합뉴스
프랑스 출신의 전설적 일렉트로닉 듀오 다프트 펑크(Daft Punk)가 결성 28년 만에 해체한다.

다프트 펑크는 22일 유튜브 채널에 ‘에필로그’라는 제목으로 8분 길이 영상을 올려 팬들에게 해체를 알렸다. AFP와 CNN 등 외신도 “다프트 펑크의 홍보 담당자인 캐스린 프레지어는 이들의 해체 사실을 확인했으나 이유는 밝히지 않았다”고 보도했다.

1987년 파리에서 학창시절에 만난 토마 방갈테르(46)와 기 마누엘 드 오맹 크리스토(47)가 결성한 다프트 펑크는 하우스 음악 돌풍을 일으키며 세계적 인기를 누렸다. 1집 ‘홈워크’(Homework·1997)에 실린 싱글 ‘다 펑크’로 빌보드 댄스 차트 첫 1위에 올랐으며, 대표 명반으로 꼽히는 2집 ‘디스커버리’의 ‘원 모어 타임’(One More Time), ‘하더, 베터, 패스터, 스트롱거’(Harder, Better, Faster, Stronger) 등으로 슈퍼스타 입지를 굳혔다.

2005년 3집 ‘휴먼 애프터 올’(Human After All)에 이어 2013년 발표한 4집 ‘랜덤 액세스 메모리즈’(Random Access Memories) 역시 세계적 인기를 누렸다. 패럴 윌리엄스, 기타리스트 나일 로저스와 작업한 히트곡 ‘겟 럭키’(Get Lucky) 등이 실린 앨범으로 제56회 그래미 어워즈에서 ‘올해의 레코드’를 비롯한 주요 분야를 휩쓸었다.

그래미 수상 경력만 6차례 보유한 이들은 대중에게는 거의 얼굴을 드러내지 않는 신비주의로 유명하다. 2집 즈음부터 쓰고 나온 로봇 모양 헬멧은 이들의 트레이드 마크다. TV 출연도 거의 하지 않았으나 뮤지션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AFP는 이날 “최근 몇년간 EDM을 특징지은 기념비적 ‘사운드 앤 라이트 쇼’를 개척해왔다”며 “얼굴을 거의 드러내지 않았지만 다른 EDM 스타들도 헬맷을 복제했다”고 영향력을 짚었다.

해체 소식에 대중음악계에서도 아쉬움과 존경을 보내는 메시지가 쏟아졌다. 스타 프로듀서 마크 론슨은 “다프트 펑크는 흠 없는 유산을 남기고 판을 떠났다”고 트위터에 적었다. 함께 작업했던 위켄드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그 여정의 일부가 될 수 있어 감사하다”고, 퍼렐 윌리엄스 역시 “영원한 전설”이라고 썼다.



김지예 기자 jiye@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