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신문·테소로 공동 한·일의식조사] 10명 중 3명 “한·일 위상 비슷”

[서울신문·테소로 공동 한·일의식조사] 10명 중 3명 “한·일 위상 비슷”

입력 2014-01-06 00:00
업데이트 2014-01-06 01: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앞으론 한국이 앞설 것” 한 24% 일 5% 온도차

최근 슈칸분슌 등 일본 주간지들이 잇달아 한국과 박근혜 대통령을 비방하는 기사를 내면서 한·일 간 갈등으로 비화되기도 했다. 이런 보도에 대해 일본 내부에서는 “과거와 달리 한국이 일본을 바짝 추격해 오는 것을 두려워하기 때문”이라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그렇다면 일본과 한국의 국민들은 상대국의 위상에 대해 어떤 생각을 갖고 있을까.

이번 조사 결과 양국 모두 응답자 10명 중 3명꼴로 “과거에는 일본이 한국보다 경제, 사회, 문화적으로 몇 단계 높았지만 지금은 거의 비슷하다”고 응답했다. 한국 응답자의 27.4%, 일본 응답자의 27.9%가 이같이 대답해 거의 차이가 없었다. 한국 국민뿐 아니라 일본 국민들도 한국이 일본 턱밑까지 뒤쫓아 왔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그러나 아직도 “일본이 한국보다 몇 단계 높은 국가였고, 지금도 변함없이 한국보다 몇 단계 높다”는 응답이 양국을 통틀어 가장 많았다. 일본 응답자의 47.8%, 한국 응답자의 40.2%가 이렇게 응답했다.

다만 한국이 일본을 뛰어넘으려고 한다는 문항에 한국인의 23.5%가 동의한 반면, 일본인은 단 5%만이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나 한·일 간의 온도 차가 엿보였다. 일본 응답자의 경우 16.2%가 ‘잘 모르겠다’고 응답, 유보적인 태도를 보인 것도 특징적이다.

도쿄 김민희 특파원 haru@seoul.co.kr

2014-01-06 5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