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MB회고록 파장] “연예인 팬클럽 통해 광우병 괴담 확산”

[단독] [MB회고록 파장] “연예인 팬클럽 통해 광우병 괴담 확산”

입력 2015-01-29 23:48
업데이트 2015-01-30 04: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MB 회고록에 숨어있는 ‘민간인 사찰’

29일 공개된 이명박 전 대통령의 회고록 ‘대통령의 시간’에는 2010년 불거진 이후 후반기 이명박(MB) 정부를 괴롭혔던 ‘민간인 사찰 의혹’에 대한 언급은 없다. 다만, 연예인·언론인 등으로 폭넓게 번져간 사찰 <2012년 4월 2일자 서울신문> 배경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 일부 엿보인다.

이 전 대통령은 광우병 사태를 돌이키는 대목에서 “PD수첩이 방영되자 중고생들을 중심으로 인터넷에 광우병 괴담이 퍼져 나갔다”며 괴담이 주로 연예인 팬클럽 등을 중심으로 유포됐다고 강조했다. 또 “괴담이 연예인 팬클럽으로 확산된 결과 여중고생들이 (미국산 소고기 수입 반대 집회) 참석자의 주류를 이뤘다. 여기에 일부 연예인들이 동참하면서 집회는 급속히 확산됐다”고 적었다. 집권 초 최대 위기였던 ‘광우병 사태’의 괴담 확산 통로와 촛불시위의 근원을 연예인 팬클럽과 연예인 등으로 인식했다는 얘기다.

일부 연예인에 대한 이 전 대통령의 이런 부정적인 인식이 작용했는지 모르지만 실제 연예인들을 타깃으로 한 조사가 이뤄지기도 했다. 2012년 4월 일부 공개된 청와대 민정수석실 내부 문건에는 ‘좌파 연예인’과 같은 용어가 담겨 있다. 또 이 문건이 작성된 2009년 9월을 즈음해 정치색이 뚜렷했던 방송인 김제동·김미화씨 등은 방송에서 갑자기 중도 하차했다.

이 전 대통령은 언론과 정치권에 대한 강한 불신을 드러내기도 했다. 이러한 대통령의 상황 인식에서 ‘민간인 사찰’이라는 극단적인 방식이 파생된 것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 이 전 대통령은 “당시 공영방송은 전임 정부가 임명한 경영진과 노조가 좌우하고 있었다”면서 “국회 역시 임기가 1개월 남짓 남은 17대 국회의원들이 자리를 지키고 있는 상황이었다. 여소야대의 상황이기도 했지만 여당 의원 중 상당수는 공천을 받지 못했고, 상당수는 총선에서 낙선했다. 그들에게 의욕이 있을 리 없었다”고 언급했다.

김양진 기자 ky0295@seoul.co.kr

2015-01-30 3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