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태영 “인구추계 경고등 켜져…혁신적 정책전환 있어야”

염태영 “인구추계 경고등 켜져…혁신적 정책전환 있어야”

신형철 기자
입력 2021-01-15 11:09
업데이트 2021-01-15 11:0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더불어민주당 염태영 최고위원
더불어민주당 염태영 최고위원
더불어민주당 염태영 최고위원이 낮은 출생률로 인해 인구추계에 경고등이 켜졌다고 우려했다.

현역 경기 수원시장이기도 한 염 최고위원은 15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지난해 우리나라 인구추계에는 2개의 경고등 켜졌다”며 “첫째는 데드크로스. 즉 출생아보다 사망자수 많아 인구 자연감소 첫해였고, 둘째는 지난해를 기점으로 수도권의 인구가 우리나라 전체인구의 50%를 넘었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염 최고위원은 “수도권인구집중의 후폭풍으로 지방소멸 가속화되고 있다”며 “현재 228곳의 시군구 중 절반에 이르는 곳이 지방소멸위험이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염 최고위원은 “지방소멸대응 TF의 정책 간담회를 개최해 지방소멸 대응 핵심정책을 살펴보겠다”고 말했다.

특히 염 최고위원은 “지방소멸의 결정적 요인은 청년들이 지역을 이탈하는 것”이라며 “지난해 수도권으로 유입된 인구 75%가20대 청년층”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들이 지방떠나 수도권 몰리는 이유는 대학진학과 일자리”라며 “삶의 터전을 이루려면 직장, 돌봄, 문화시설, 의료시설이 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염 최고위원은 “지역 균형발전위해 공공기관 이전 혁신도시 시도됐지만 큰 흐름 돌리기엔 역부족”이라면서 “기존 방법 수준 보완이어선 안된다. 혁신 정책전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 방안으로는 “사람, 교직, 육성정책이 옮겨야한다. 공동체 기반 사업방식 지원 병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염 최고위원은 “정부의 지방소멸대응정책은 부처별 단위산업에서 행정추진으로 개편돼야 한다”며 “지역발전·투자협약과 특별지자체 도입 등 지자체의 자율성을 끌어올릴 방향성이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염 최고위원은 통괄 컨트롤타워의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지방소멸대응TF는 지역순환간담회 당정통해 구체적 성과 도출하겠다”고 말했다.

신형철 기자 hsdori@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