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교생에게 10억원이란

고교생에게 10억원이란

입력 2013-01-08 00:00
업데이트 2013-01-08 00: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가질 수만 있다면 1년쯤 감옥에 가도 괜찮은 돈

#“정직한 게 옳은 줄은 알지만 그렇게 살면 어딘가 손해 보는 것 같아요.”(서울 송파구 중학생 김모(16)양)

#“인터넷에서 숙제를 베끼거나 성적을 부모님께 숨겨 보지 않았던 친구는 반에 한 명도 없을걸요. 거짓말을 할 때 양심의 가책은 느끼지만 불법은 아니잖아요.”(경기 성남 고등학생 전모(19)군)

이미지 확대
우리나라 고등학생 10명 중 4명 이상이 ‘10억원이 생긴다면 잘못을 하고 1년 정도 감옥에 가도 괜찮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흥사단 투명사회운동본부가 최근 초·중·고교생 각각 2000명을 대상으로 윤리의식을 설문조사한 결과 10억원이 생긴다면 1년간 감옥행도 무릅쓰겠다는 응답자의 비율이 고등학생은 44%에 달했다. 중학생은 28%, 초등학생은 12%였다. 실제 학생들의 응답을 바탕으로 ‘정직지수’를 산출한 결과 초등학생 85점, 중학생 75점, 고등학생 67점으로 학년이 높을수록 윤리의식이 크게 낮아지는 양상을 보였다. 교육을 받으면 받을수록 윤리의식이 오히려 낮아지는 셈이다.

문항별로는 ‘남의 물건을 주워서 내가 가져도 괜찮다’고 생각하는 비율이 초등학생은 36%, 중학생 51%, 고등학생 62%였다. ‘인터넷에서 영화 또는 음악파일을 불법 다운로드해도 괜찮다’고 응답한 학생은 각각 16%, 58%, 84%였다.

‘숙제를 하면서 인터넷에서 그대로 베껴도 괜찮다’고 답한 학생은 초등학생 47%, 중학생 68%, 고등학생 73%였고 ‘시험성적을 부모님께 속여도 괜찮다’고 답한 학생은 각각 5%, 24%, 35%였다.

전문가들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성적 위주의 교육이 이뤄지다 보니 상대적으로 도덕성이나 인성 교육이 소홀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번 연구 책임자인 안종배 한세대 미디어영상학부 교수는 7일 “교육을 받을수록 도덕적 가치관이 확립되고 윤리의식이 높아져야 하는데 현실에서는 정반대의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면서 “이야기와 콘텐츠를 연계하는 등 윤리 교육을 강화하고 투명과 정직에 대한 교육 캠페인을 확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12월 7~10일 서울·경기·인천 지역에 거주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8% 포인트다.

명희진 기자 mhj46@seoul.co.kr

2013-01-08 2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