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포커스] “비싸게 부품 들여와 싼값에 車수출… GM본사만 이득”

[경제포커스] “비싸게 부품 들여와 싼값에 車수출… GM본사만 이득”

입력 2012-11-23 00:00
수정 2012-11-23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 0.75% ‘저조’ 논란

한국지엠의 매출은 늘고 있지만 영업이익은 거꾸로 줄고 있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본사인 미국의 GM으로 이익 일부가 흘러 들어가고 있기 때문이라는 의심을 하고 있다. 한국지엠은 전체 판매의 60% 정도가 ‘스파크’ 등 경차에서 발생해 남는 이윤이 박하기 때문이라고 항변하고 있다.

●한국지엠 “경차 늘어 수익성 악화”

22일 한국지엠에 따르면 2011년 연매출은 15조 680억원, 영업이익은 1137억원이다. 즉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이 1%에도 미치지 못하는 0.75%에 불과하다. 현대기아차 등 국내 다른 업체보다 훨씬 낮은 수치다. 현대차는 영업이익이 10%를 훌쩍 넘고 쌍용차도 6%대에 이른다.

한국지엠의 지난해 매출원가율(매출액 대비 원가의 비율)은 90.7%다. 현대차(75.5%)나 기아차(77.9%)보다 훨씬 높다. 또 생산 대수가 적은 르노삼성차(78.28%)보다도 10% 포인트 이상 높다.

이에 대해 업계에서는 한국지엠이 본사인 GM의 부품을 비싼 값에 사들이고 이것을 조립해 싼값에 수출하면서 본사의 이익을 내는 데 기여하고 있다는 의심의 눈초리를 보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15조원 매출에 제조 원가가 13조 7000억원이란 것은 누가 봐도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라면서 “한국지엠이 한·미, 한·유럽연합(EU) 자유무역협정(FTA) 이후 GM과 해외 판매 법인들에 비싼 값에 부품을 들여오고 낮은 가격에 차량 수출을 하기 때문일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R&D 등에 신규 투자 늘려야

김필수 대림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한국지엠이 지난해 본사인 미국 GM 대신에 191만여대 차량을 만들어 수출했는데도 높은 매출 원가 등으로 남는 것이 없는 장사를 했다.”면서 “한국이 GM의 수출 기지 역할을 한 것으로밖에 보이지 않는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한국지엠이 자생력을 가지려면 단순 조립 수출보다는 국내 소비자의 눈높이에 맞는 다양한 신차 출시로 내수시장 점유율을 끌어올리는 길밖에 없다.”면서 “그러려면 연구 개발에 더 많은 예산과 인력을 투입하고 신규 투자가 이뤄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국지엠 관계자는 “GM이 의도적으로 그렇게 한다는 것은 불가능하고 사실도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한준규기자 hihi@seoul.co.kr

2012-11-23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