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목표가격 이해해달라”…머리숙인 농식품장관

“쌀목표가격 이해해달라”…머리숙인 농식품장관

입력 2013-05-12 00:00
수정 2013-05-12 12:3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농림축산식품부는 12일 쌀 수매제를 폐지하고 목표가격 제도를 도입한 이후 8년 만에 처음으로 목표가격을 4천원 인상한다고 밝혔다.

쌀 목표가격제도는 FTA 체결에 따른 쌀값 하락을 막기위해 산지 쌀값이 목표가격보다 내려가면 차액의 85%를 직불금 형태로 보전해 주는 제도다.

즉, 목표가격이 높을수록 농민의 소득보전액은 많아지는 반면, 정부의 예산지출은 많아지게 된다.

따라서 농민단체들은 끊임없이 쌀 목표가격 인상을 주장해 왔으나 정부는 재정부담을 이유로 인상에 반대해왔다.

11일 이동필 농식품부 장관 주재로 경기도 여주군 점동면 여주농협통합미곡종합처리장에서 열린 ‘쌀 산업 현장 간담회’는 쌀 목표가격에 대한 농민단체와 정부의 시각차를 극명하게 드러낸 자리였다.

이 장관은 “농정의 책임자로서 어떻게 하면 농가소득을 올리고 새 목표가격을 이해하게 할 수 있을지 고민스러워서 답을 찾고자 여기 왔다”고 했으나 정부와 농민단체의 입장은 평행선을 달렸다.

임인성 한국쌀전업농중앙연합회 경기도 회장은 “2005년에 17만83원으로 정해놓고 8년이 지나서 고작 4천원 올린다는 것은 농민은 이 나라 국민이 아니라는 소리”라며 “최소한 물가 상승분은 인정해줘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자 목표가격을 물가상승률에 맞춰 인상하기 어려운 이유에 대한 농식품부 측 설명이 이어졌다.

심재규 농식품부 식량정책과장은 “목표가격 자체가 물가를 반영하는 제도가 아니다”라며 “물가나 생산비 상승분은 다른 정책을 통해 보전해야지 목표가격에 연동하면 제도 자체가 제대로 작동할 수 없고 재정부담만 커질 수 있다”고 말했다.

심 과장은 “목표가격을 21만7천원으로 올리자는 안이 있는데 이 경우 변동직불금으로만 1조2천억원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농식품부의 설명에도 농민단체들은 이해할 수 없다는 입장을 굽히지 않았다.

임 회장은 “정부와 이야기할 때마다 가슴이 답답하고 소통이 안 되는 것 같다”며 “우리는 현실을 따지는데 정부는 원칙만 이야기한다. 줄을 그어놓고 넘어오지 말라는 식”이라며 불만을 털어놨다.

조창준 한국농업경영인중앙연합회 경기도 회장은 커피값과 비교해도 쌀 가격이 터무니없이 낮은 현실을 지적했다.

조 회장은 “성인 한 명이 연간 쌀 70㎏을 소비하는데 금액으로 환산하면 연간 15만원도 안된다”며 “한 잔에 5천원씩하는 커피가 잘 팔리는 현실을 고려하면 쌀 한 가마니(80㎏) 가격이 50만원 이상이어도 전혀 문제될 것 없다”고 주장했다.

홍기완 여주군 우만리 이장은 “정책하는 분들 말씀을 들어보면 거의 다 탁상행정”이라며 “다른 소득보전 방안을 내놓겠다고 하는데 목표액을 정해놓고 그 이상 못 올라가게 하면 결과는 똑같다”며 비판했다.

취임 이후 ‘한(1)달에 두(2)번 이상 현장을 방문해 세(3)시간 이상 사(4)람을 만난다’는 뜻의 ‘이동필의 1234’를 내걸고 현장 소통 행보를 나선 이 장관은 이날 농민단체의 가시 돋친 반응에 진땀을 흘려야 했다.

쌀전업농연합회 임인성 회장이 설명회가 끝나고 나서도 이 장관에게 쌀 목표가격 현실화 쟁취안을 전달하며 “기대하겠다”고 압박하자 이 장관은 임 회장의 손을 잡고 “기대 대신 이해를 해달라”며 머리를 숙였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연예인들의 음주방송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최근 방송인 전현무 씨와 가수 보아 씨가 취중 상태에서 인스타그램 라이브 방송을 진행하면서 논란이 됐습니다. 요즘 이렇게 유명인들이 SNS 등을 통한 음주방송이 하나의 트렌드가 되고 있는데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음주를 조장하는 등 여러모로 부적절하다.
자연스러운 모습으로 대중에게 다가가는 방법 중 하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