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해 사고 절반 이상이 집에서 발생”

“위해 사고 절반 이상이 집에서 발생”

입력 2014-08-03 00:00
업데이트 2014-08-03 12: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국소비자원, 최근 3년간 위해사례 분석

위해사고의 절반 이상이 가정 내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은 최근 3년간 소비자 위해 사례를 접수한 결과, 2011년 5만4천724건, 2012년 6만1천498건, 2013년 6만5천405건으로 매년 증가했다고 3일 밝혔다.

이 중 작년 한 해 접수한 사례를 연령별로 분석하면 10세 미만의 어린이(33.6%)가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30대(12.1%), 40대(10.2%), 50대(8.8%), 20대(8.1%) 등이 뒤따랐다.

위해 발생 장소는 가정(56.9%)이 과반수를 차지했고 이어 상업시설(10.9%), 교통시설(10.4%), 여가·문화놀이 시설(3.8%), 교육시설(3.4%) 순이었다.

가정 내의 경우 침실이나 방(11.8%)에서 가장 빈번하게 사고가 발생했으며 거실(9.6%), 주방(9.1%), 화장실·욕실(4.2%), 현관(0.6%) 등의 순으로 안전사고가 났다.

품목별로는 먹을거리가 부패하거나 식품 속에서 이물질이 발견되는 등 식료품·기호품(18.4%)에서 발생하는 위해사례가 가장 많았다.

식료품·기호품 다음으로는 계단 같은 구조물·건축물·제조용 자재(16.3%), 차량·승용물(11.7%), 가구·가구설비(11.5%), 등의 순으로 위해 발생 빈도가 높았다.

한편, 작년에 화재로 인한 위해사례로 2천836건을 접수했으며 이 중 자동차 화재(36.5%)가 가장 많았고 이어 전기장판(6.8%), 선풍기(3.7%), 세탁기(3.6%) 순이었다.

소비자원은 작년에 접수한 6만5천405건 중 265건에 대해 사업자 시정을 권고했고 33건에 대해 사업자의 리콜을 끌어냈다고 밝혔다.

소비자원 관계자는 “식품 안전사고에 특히 유의하고 가정 내에서 어린이가 안전사고를 당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당부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