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미국 사물인터넷 플랫폼 개발업체 인수(종합)

삼성전자, 미국 사물인터넷 플랫폼 개발업체 인수(종합)

입력 2014-08-15 00:00
업데이트 2014-08-15 13: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삼성전자는 미국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개방형 플랫폼 개발 회사인 스마트싱스(Smart Things)를 인수했다고 15일 밝혔다.

구체적인 인수 금액은 공개되지 않았으나, 2억 달러(약 2천43억원) 규모에 달한다고 미국 정보기술(IT) 전문매체 리코드 등이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스마트싱스의 플랫폼은 하나의 모바일 애플리캐이션(앱)으로 집을 모니터, 제어할 수 있게 해준다. 이 플랫폼은 현재 1천개 이상 기기, 8천개 이상 앱을 지원한다.

스마트싱스는 2012년 설립된 벤처 회사이다. 출범 당시 크라우드펀딩 사이트 킥스타터(Kickstarter)에서 120만 달러를 모아 화제가 됐다.

이번 인수로 스마트싱스는 미국 실리콘밸리에 있는 삼성전자 오픈이노베이션센터(OIC) 소속이 된다. 본사도 워싱턴DC에서 캘리포니아 팔로 알토로 이전한다.

다만, 스마트싱스 운영은 창업자이자 최고경영자(CEO)인 알렉스 호킨슨이 독립적으로 한다.

데이비드 은 삼성전자 OIC 부사장은 “커넥티트 디바이스는 삼성전자에게 전략적으로 중요한 부분”이라며 “스마트싱스가 개방형 플랫폼을 유지하며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호킨스는 이날 스마트싱스 블로그에 직접 글을 올려 삼성전자와 손을 잡게 됐다는 소식을 전했다.

그는 “개발자, 제조업체, 소비자를 한 데 모아주는 개방형 스마트홈 플랫폼을 만드는 게 항상 우리의 목표”였다며 “삼성전자가 이러한 스마트싱스의 비전을 전폭적으로 지원해준다는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고 적었다.

이 글에는 “이제 스마트싱스 앱으로 애플의 스마트홈 플랫폼 ‘홈킷’을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것 아니냐”는 등 우려하는 댓글이 여러 건 달렸다.

이에 호킨스는 “우리는 100% 개방돼 있다”며 “앞으로 우리가 내놓는 결과물을 지켜봐 달라”라는 댓글을 다시 달아 안심시켰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