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TV 판매 2대 중 1대 ‘한국산’

지구촌 TV 판매 2대 중 1대 ‘한국산’

입력 2014-08-22 00:00
업데이트 2014-08-22 02: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분기 삼성전자 사상 최대 점유율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세계 TV시장을 싹쓸이하고 있다. 올해 2분기 두 회사의 시장 점유율은 48.3%로 나타났다. 팔린 TV 2대 중 1대가 ‘메이드인 코리아’(한국산)인 셈이다. 삼성전자는 사상 최대 점유율을 기록하며 글로벌 TV시장에서 독주하고 있다. 특히 최근 급성장하고 있는 UHD(울트라HD·초고화질) TV시장에서도 삼성과 LG가 나란히 1, 2위를 차지하며 55.1%의 시장점유율을 차지했다.

21일 시장조사기관 디스플레이서치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삼성전자는 세계 평판 TV시장에서 매출 기준 31.8%의 점유율을 기록했다. 34분기(8년 6개월) 연속 점유율 1위 행진을 이어갔다. 2위는 LG전자(16.5%), 3위는 일본 소니(8.5%)로 나타났다. 4, 5위는 내수 기반의 중국기업 하이센스(5.2%), TCL(4.1%)이 차지했다. 삼성전자와 LG전자의 매출액을 합치면 절반에 육박한다.

이런 한국기업들이 TV시장을 장악한 1등 공신은 프리미엄 TV다. 프리미엄 TV는 1500달러(약 153만원) 이상의 고가 TV를 말한다. 하이센스, 스카이워스, TCL, 창홍, 콩카, 하이얼 등 중국 6대 메이저 TV제조사들이 저가 TV를 중심으로 내수 시장을 키워가는 상황에는 변함이 없지만 중국·북미·유럽 등 세계 프리미엄 TV시장에서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성장한 것이 매출 증가의 원동력이 됐다. 프리미엄 TV 부문에서 삼성전자 단독 시장점유율만 50%가 넘기 때문이다. 하이엔드(최첨단 고가) 제품에서는 아직 중국 제조사들이 우리 기술력을 못 따라오고 있다는 방증이기도 하다.

특히 최근 뜨는 분야인 UHD TV 매출 점유율에서 삼성전자와 LG전자의 약진이 돋보였다. 올해 1~2분기 삼성전자의 UHD TV시장 점유율은 21.6%에서 43.3%로 21.7% 포인트 급상승했고, LG전자도 같은 기간 10.6%에서 11.8%로 점유율을 키웠다. 반면 하이센스(16.0→6.9%), TCL(13.6→6.6%) 등 중국 제조사들의 매출은 반 토막 났고, 한때 세계 TV시장을 주름잡았던 일본의 소니(9.8→10.0%)도 점유율을 겨우 방어하는 데 그쳤다. 삼성전자와 LG전자가 비록 중국·일본 업체들에 비해 중국 UHD TV 시장에 늦게 뛰어들었지만 최근 보급형 모델을 강화한 데 힘입어 점유율을 대폭 끌어올린 것으로 분석된다.

김양진 기자 ky0295@seoul.co.kr

2014-08-22 14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