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속의 한국 기업] 현대자동차, 업계 최초 최단기간 10만대 생산 돌파

[중국 속의 한국 기업] 현대자동차, 업계 최초 최단기간 10만대 생산 돌파

입력 2014-08-22 00:00
업데이트 2014-08-22 01: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중국에서 현대차는 ‘현대 속도’라는 단어로 대변된다. 북경현대기차는 2002년 10월 중국 정부로부터 승용차 생산 비준을 획득한 이후 불과 2개월 만에 쏘나타 생산을 시작했다.

이미지 확대
베이징시 순이구 북경현대 3공장 생산라인에서 현지 직원이 차를 조립하고 있다.  현대차그룹 제공
베이징시 순이구 북경현대 3공장 생산라인에서 현지 직원이 차를 조립하고 있다.
현대차그룹 제공


2004년 5월 중국 자동차업계 최초로 최단기간 10만대 생산을 돌파했고 다시 7개월 후에는 최단기간에 20만대 생산 돌파라는 대기록을 세웠다. 특히 북경현대는 2005년 3월에는 1위 업체 자리를 차지해 글로벌 경쟁사를 긴장시켰다. 성공은 철저한 현지화 전략에서 비롯됐다. 현지 도로에 맞게 차량을 특별 제작했고 엔진 오일팬 등의 각종 재질을 보강해 내구성을 높였다. 차량의 지상고 등은 중국 도로 조건에, 디자인은 철저히 중국인의 입맛에 맞췄다. 이 같은 전략은 베스트셀러인 쏘나타와 엘란트라(아반떼XD)는 물론 ix35(투싼ix), 엑센트, 베르나, 밍위, i30 등 모든 현지 모델에서 예외가 없다. 중국 진출 10년 만인 2012년 7월부터는 기존 1, 2공장에서 약 20㎞ 떨어진 베이징시 순이구 3공장이 본격 가동하면서 전체 105만대의 생산 능력을 확보했다. 북경현대는 지난해 103만 808대를 판매해 중국 내 자동차업체 중 4위를 차지했다. 올 상반기에만 55만 2970대를 판매해 전년 동기 대비 약 8.2% 상승하는 등 지속적인 성장세를 기록 중이다.

유영규 기자 whoami@seoul.co.kr

2014-08-22 16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