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속의 한국 기업] 달린다, 성장 바퀴…돌린다, 희망 엔진

[중국 속의 한국 기업] 달린다, 성장 바퀴…돌린다, 희망 엔진

입력 2014-08-22 00:00
업데이트 2014-08-22 01: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달 초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방한했을 때 국내 주요 대기업 총수들도 덩달아 공개 행사장에 모습을 많이 드러냈다. 잠깐이라도 시 주석과 면담을 하기 위해 사방팔방으로 뛰어다녔다고 재계 관계자들이 전했다. 삼성그룹과 LG그룹이 시 주석 한 사람을 위한 전시관을 만들고, 삼성 이재용 부회장과 LG의 구본무 회장이 직접 안내를 맡았던 것도 마찬가지다. 중국의 달라진 위상을 실감케 하는 사례들이다. 중국시장의 중요성이 미국, 일본 등 전통 우방들을 넘어선 것은 이미 오래전이다. 2006년까지 한국의 1위 수입국은 일본이었지만 2007년 중국으로 바뀌었다. 수출국 역시 2003년부터 중국이 일본, 미국을 넘어선 압도적인 1위 국가가 됐다. 한국의 대중 수출 비중은 매년 급격히 성장해 지난해 전체 수출액의 26.1%(1459억 달러)를 차지했다.









이는 한국의 2, 3위 수출국인 미국(11.1%)과 일본(6.2%)의 비중을 합친 것보다도 크다. 특히 한·중 자유무역협정(FTA)이 올해 11월쯤 타결될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중국이 한국의 ‘1위 교역국’ 으로서 갖는 지위가 더욱 공고해질 것으로 보인다. 양국 간 교역 확대는 최전선에서 뛰는 기업들이 있어 가능했다. 제품의 중국 현지화는 물론 활발한 사회공헌활동과 이미지 마케팅으로 중국 내 한국에 대한 평가를 높이고 있다. 지난해 한국을 찾은 중국인은 432만명으로 중국을 방문한 한국인 396만명을 앞질렀다. 또 올 들어 5월까지 중국이 한국 주식·채권을 사들인 순매수액은 2조원을 넘어서 외국인 투자자 중 1위를 기록했다. 국내 기업들의 세계 최대 시장인 중국에서의 활발한 활동이 한국 내수까지 살릴 것으로 기대되는 이유다. 국내 주요 기업들의 중국 비즈니스에 대해 조명해 본다.
2014-08-22 16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