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속의 한국 기업] 우리은행, 중국우리은행 발판… 글로벌 금융으로

[중국 속의 한국 기업] 우리은행, 중국우리은행 발판… 글로벌 금융으로

입력 2014-08-22 00:00
업데이트 2014-08-22 01:4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우리은행은 일찌감치 중국 시장에 눈을 돌려 중국을 발판으로 글로벌 선두은행의 꿈을 키워 나가고 있다. 2007년 11월 국내 은행 최초로 중국 법인은행인 ‘중국우리은행’을 설립한 이후 6월 말 현재까지 베이징, 톈진, 다롄 등 중국 각지에 총 17개(분행 8개, 지행 9개)의 영업점을 보유하고 있다. 서비스 부문에서도 한국계 은행 최초 인터넷뱅킹, 중국 개인 대상 인민폐 영업, 직불카드, 파생상품 허가 취득 등의 기록을 써 내려가고 있다. 2013년 말 기준 자본금 3억 달러, 총자산 32억 달러, 영업수익 6600만 달러, 직원 수 500여명에 이른다. 특히 전체 고객 중 중국계 고객 비중이 68%를 차지해 현지화에 성공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미지 확대
이순우(왼쪽에서 여섯 번째) 우리금융지주 회장 겸 우리은행장과 나우시밍(牛錫明·왼쪽에서 다섯 번째) 중국 교통은행 회장이 지난달 4일 서울 중구 플라자호텔에서 열린 위안화 청산업무 간담회 및 협약식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우리은행 제공
이순우(왼쪽에서 여섯 번째) 우리금융지주 회장 겸 우리은행장과 나우시밍(牛錫明·왼쪽에서 다섯 번째) 중국 교통은행 회장이 지난달 4일 서울 중구 플라자호텔에서 열린 위안화 청산업무 간담회 및 협약식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우리은행 제공


지난 6월에는 중국 교통은행과 손잡고 ‘원·위안화 국제결제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에 따라 양 은행은 한·중 통화스와프 무역결제 협력, 원·위안화 금융상품 교차 판매 및 양국 통화 무역거래에 관한 정보를 상호 제공할 예정이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지난해 양국 간 통화스와프 무역결제에 자국 통화인 원화와 위안화를 사용하기로 합의한 이후 양국의 민간은행이 정부의 금융정책을 시장에서 지원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유미 기자 yium@seoul.co.kr

2014-08-22 17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