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 안중에 없는 이통사 ‘LTE 최고 속도’ 마케팅

소비자 안중에 없는 이통사 ‘LTE 최고 속도’ 마케팅

입력 2016-03-28 07:51
업데이트 2016-03-28 07:5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론상 300→400Mbps’ 대대적 홍보…실제 속도는 절반 수준

20Mbps면 큰 불편 없어…“소비자 체감 어렵다”

이동통신 3사가 무선 LTE 최고 속도를 33% 개선했다고 대대적으로 홍보했으나 소비자의 편의를 크게 증진해주진 못할 것으로 평가된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은 갤럭시S7과 G5 출시를 계기로 다운링크 256쾀(QAM) 기술을 상용화했다. 데이터 다운로드 속도를 33% 빠르게 하는 최신 LTE 기술이다.

그동안 이통 3사는 기존 3밴드 LTE-A의 최고 속도가 300Mbps에 달한다고 홍보해왔다. 다운링크 256쾀 기술 상용화로 이제 최고 400Mbps의 속도를 구현할 수 있다는 게 이통사들 주장이다.

더 나아가 최고 867Mbps의 와이파이와 3밴드 LTE-A를 묶으면 1.27Gbps까지 속도를 높일 수 있게 됐다. 1GB 용량의 영화를 5초 만에 다운받을 수 있다는 소위 ‘기가 LTE’다.

하지만 이는 모두 이론적인 속도에 불과하다. 실험실에서 가능할지 몰라도 실생활에서는 거의 불가능하다는 뜻이다.

실제로 미래창조과학부가 3개월 전 발표한 2015년도 통신서비스 품질평가 결과에 따르면 이통 3사 3밴드 LTE-A의 평균 다운로드 속도는 광고된 최고 속도의 절반 남짓인 163.01Mbps에 불과했다.

소비자 입장에서 보면, 스마트폰 최고 속도가 300Mbps든 400Mbps든 차이를 체감하기 어려운 게 사실이다.

대부분 소비자는 영화 등 동영상을 다운로드하기보다는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통상 20Mbps 정도면 HD급 고화질 동영상을 쾌적하게 시청하는 데 부족함이 없다.

이통사도 이같은 사실을 잘 알고 있다.

이통사들은 그동안 기본 데이터를 소진해도 3Mbps 남짓의 속도로 데이터를 계속 쓸 수 있는 요금제를 ‘무제한’ 데이터 요금제라며 판매했다. 3Mbps도 그리 느리지 않다는 설명과 함께 있었다.

결국, 이론상 최고 속도는 실제 이용 속도와 큰 차이가 있을뿐더러 소비자들이 평소 필요한 속도와도 동떨어져 있어, 이를 알리는 것이 ‘마케팅을 위한 마케팅’이란 비판을 받을 수 있다.

업계 관계자는 “3G에서 LTE로 갈 때는 TV를 대체할 정도로 스마트폰 동영상 수요가 늘었다”며 “하지만 LTE에서 다시 속도 개선 정도로는 소비자 이용 패턴이 바뀌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