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순실 유탄 맞은 ‘인공지능’… 지금 뒤처지면 도태

최순실 유탄 맞은 ‘인공지능’… 지금 뒤처지면 도태

윤수경 기자
윤수경 기자
입력 2016-12-13 22:50
업데이트 2016-12-14 11:3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능정보기술연구원 예산 삭감… ‘한국형 알파고’ 개발 좌초 위기

“한국형 알파고 시대를 열자고 하더니 이제 와서 나 몰라라 하네요. 가뜩이나 후발주자인데 연구개발과 투자 시기를 놓치면 세계시장에서 도태될 수 있습니다.”(지능정보기술연구원 관계자)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로 내년 미래 성장동력 예산이 대거 삭감되면서 빈대 잡으려다 초가삼간까지 태우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세돌 9단과 알파고의 바둑 대국으로 인공지능(AI) 분야에 쏟아졌던 뜨거운 관심과 지원 약속이 ‘최순실 게이트’ 때문에 가라앉으면 안 된다는 지적이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올 초 “한국형 알파고를 만들겠다”며 민간 주도의 지능정보기술연구원(AIRI)을 설립했다. 2020년까지 향후 5년간 해마다 150억원씩 총 750억원을 AIRI를 포함한 산학연에 정책지정 방식으로 지원하기로 했다.

하지만 ‘AIRI가 IT계의 미르재단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원점으로 돌아가는 모습이다. 우선 관련 예산이 공모 방식으로 전환됐다. AIRI는 50억원 규모의 ‘총괄 과제’(자율지능 디지털 동반자 기술연구)에 단독 응모했지만 국회의 압박에 신청이 사실상 무효화됐다. AIRI는 예산 한 푼 지원받지 못하고 좌초될 위기에 직면했다. 창조경제혁신센터 관련 예산들도 ‘탄핵 정국’의 유탄을 피해가지 못했다. 정보통신기술(ICT) 기반의 영양관리 서비스 실증사업도 6억원이 삭감됐다. 웨어러블 스마트디바이스 부품소재산업(R&D)과 지능정보산업 인프라 조성사업(R&D)도 각각 6억원과 20억원 줄었다. 김상우 성균관대 신소재공학부 교수는 “웨어러블 분야는 사물인터넷(IoT)뿐 아니라 AI와 연관된 산업인데 예산이 줄면 추진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며 “세계 각국이 미래성장 동력 분야에 앞다퉈 투자를 하고 있는데 우리만 뒤로 가고 있다”고 지적했다.

윤수경 기자 yoon@seoul.co.kr

2016-12-14 3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