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대 금융지주 CI. KB·신한·하나·우리금융 제공
지난해에 이어 올해 1분기에도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한 4대 금융지주의 순이익이 2분기 들어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기준금리 인하기 금융당국이 가계대출 총량 관리 강도를 높이는 데다가, 이재명 정부 초기 상생 금융에 대한 부담감도 가중될 것이란 분석이다.
19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4대 금융(KB·신한·하나·우리)의 올해 2분기 당기순이익 전망치는 4조 9612억원으로, 전년 동기(5조 1240억원) 대비 3.18% 감소할 것으로 예측됐다.

지주별로 보면 KB금융이 순이익 1조 5827억원을 기록하며 ‘리딩 금융’의 지위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됐지만, 이는 전년 동기 대비 8.64% 감소한 수치다. 신한금융이 1조 4160억원(-0.67%), 하나금융이 1조 780억원(+4.18%), 그리고 우리금융 8845억원(-5.04%) 순으로 뒤를 이었다. 하나금융의 경우 4대 금융 가운데 유일하게 순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지난해 연간 순이익 16조 4025억원으로 역대급 실적을 기록한 4대 금융은 올해 1분기에만 5조원이 넘는 순이익을 냈다. 그 결과 올해 상반기 순이익 전망치만 9조 9703억원으로 예측됐는데,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6% 증가하며 반기 기준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하게 되는 셈이다. 홍콩 H지수 주가연계증권(ELS) 사태에 따른 기저효과 등이 실적 개선에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기준금리 인하 영향으로 하반기에는 수익성 지표가 떨어질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통상 금리 하락기에는 예금금리가 떨어지면서 금융사의 실질적인 수익률을 가늠하는 지표인 순이자마진(NIM)의 하락이 불가피해진다. 실제로 올해 1분기 4대 금융의 NIM 평균은 1.82%로 전년 동기 평균치(1.9%)보다 약 0.08% 포인트 내렸다.
상생 금융 역할에 대한 부담도 가중되고 있다. 이 대통령이 후보 시절부터 소상공인 등 금융 취약계층의 채무 탕감, 배드뱅크 등 금융공약을 내세운 만큼 금융지주들이 자본적정성 관리에 압박을 받을 수밖에 없다. 당장 다음 달부터 적용되는 3단계 스트레스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규제 등의 영향으로 가계대출 축소가 본격화하면 핵심 계열사인 은행들의 순이익이 줄어들 가능성도 커진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