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우측보행/김균미 수석논설위원

[길섶에서] 우측보행/김균미 수석논설위원

김균미 기자
입력 2017-09-19 22:24
업데이트 2017-09-20 00: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출퇴근길에, 횡단보도를 건너다 반대편에서 걸어오는 사람들과 ‘신경전’을 벌인 적이 한두 번이 아니다. 우측으로 걸어가다 반대쪽에서 좌측으로, 그것도 휴대전화에 코를 박고 나 몰라라 걸어오면 짧은 순간에 결정을 해야 한다. 오른쪽을 고수할지, 왼쪽으로 방향을 바꿀지, 아니면 속도를 늦춰 상대방이 결정하도록 놔둘지. 우측보행을 고수하다 보면 상대방도 오른쪽으로 방향을 트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상대방이 ‘직진’할 것 같아 먼저 왼쪽으로 방향을 틀었다가 그쪽에서도 방향을 바꿔 얼굴을 맞닥뜨린 경우가 있다. 서둘러 오른쪽으로 발을 내딛는 순간 상대방도 같은 생각을 해 다시 얼굴을 마주하는 민망한 경우도 가끔 있다.

우리는 1905년 우측통행을 실시했다가 1921년 일제가 조선총독부령으로 사람·자동차의 좌측통행을 정한 뒤 64년간 그대로 시행했다. 2010년 7월 1일부터 우측보행으로 다시 바꿔 만 7년이 지났지만 아직도 우리 사회는 적응 중이다. 우측보행을 어겼다고 처벌받지는 않지만, 이는 편리를 위한 사회구성원 간 약속이다. 하기야 지키지 않는 약속이 어디 우측보행뿐이겠나.
2017-09-20 3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