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적한 전원보다 밀집도시가 오히려 건강에 좋다”

“한적한 전원보다 밀집도시가 오히려 건강에 좋다”

입력 2014-08-15 00:00
업데이트 2014-08-15 03:4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도시내에서도 교차로와 길거리 많은 곳이 건강에 도움

교차로와 신호등이 많은 도시의 주민보다 한적한 교외에 사는 사람들이 비만, 당뇨병, 심장질환 등에 걸릴 가능성이 크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같은 도시라도 교차로와 길거리가 많은 지역에 살수록 건강에 좋았다.

14일(현지시간) 미국의 ‘교통·건강 저널’에 실린 미국 코네티컷대학과 콜로라도대학 연구진의 논문에 따르면 교차로가 많이 들어선 전통적인 도시에 사는 시민이 교외·전원 등 그렇지 않은 지역의 주민보다 더욱 건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거주지역의 설계상 전통적인 도시 지역에 사는 사람들이 더 많이 걷거나 자전거를 더 타는 덕분이라는 것이다.

연구진은 인구 3만∼10만명 규모의 캘리포니아주 도시 24곳을 선정한 뒤 이들 지역에 사는 주민 5만명을 대상으로 거리와 건물 간격 등 거주지역의 설계가 비만, 당뇨병, 고혈압, 심장병, 천식 등 각종 질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교차로가 많은 거주환경에서 사는 주민일수록 그렇지 않은 곳에 사는 사람에 비해 비만 정도가 확연히 낮았다.

또 도시 전체로는 교차로가 많은 도시 주민들은 그렇지 않은 지역민에 비해 비만, 당뇨병, 고혈압, 심장병에 걸릴 가능성이 작았다.

교차로가 많은 곳일수록 주민들이 차량보다는 자전거를 이용하거나 걸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반대로 거리 간 간격이 넓거나 대로(大路)가 많은 지역에 사는 사람일수록 비만과 당뇨병으로 고생할 확률이 높았다.

실제로 조밀하지 않은 곳에 주로 들어선 대형할인점 부근에 사는 주민들은 그렇지 않은 지역민보다 비만율이 13.7%나 높았고, 당뇨병 가능성은 무려 24.9%가 증가했다. 대형할인점이 있는 지역의 주민들이 상대적으로 잘 걷지 않고 차량을 주로 이용하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이와 관련, 집과 건물이 듬성듬성 들어섰거나 나무가 많은 지역에 사는 사람들은 건물 밀집 지역에 사는 주민들보다 운전시간이 18%나 많았다.

이에 따라 연구진은 거리 간 간격이 넓거나 대로가 많은 지역은 주민의 건강 차원에서는 상대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거주환경이라고 결론지었다.

현재 전체 미국인 가운데 68%가량이 과체중이거나 비만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