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원옥 할머니 “생전에 위안부 문제 해결됐으면”

길원옥 할머니 “생전에 위안부 문제 해결됐으면”

입력 2014-11-29 00:00
업데이트 2014-11-30 10:5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파리서 위안부 국제 콘퍼런스…”위안부는 성노예, 일본은 국가책임”

일본강점기 때 일본군 위안부인 피해자 길원옥(87) 할머니는 29일(현지시간) 파리의 한 대학에서 열린 강연에서 일본 정부가 조속히 위안부 문제 해결에 나설 것을 다시 한 번 촉구했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길원옥 할머니가 29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에 있는 파리7대학에서 열린 ‘일본군 위안부 정의 회복과 전시 성폭력 근절을 위한 국제 콘퍼런스’에서 강연하고 있다.  연합뉴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길원옥 할머니가 29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에 있는 파리7대학에서 열린 ‘일본군 위안부 정의 회복과 전시 성폭력 근절을 위한 국제 콘퍼런스’에서 강연하고 있다.
연합뉴스
길 할머니는 이날 프랑스 파리에 있는 파리7대학에서 열린 ‘일본군 위안부 정의 회복과 전시 성폭력 근절을 위한 국제 콘퍼런스’에 참가해 “살아생전에 위안부 문제가 해결됐으면 하는 게 바람이다”면서 일본 정부의 태도 변화를 요구했다.

길 할머니는 “일본은 이익되는 일이 아니니까 문제를 회피하려고 애쓴다”면서 “그러나 진실은 언젠가 밝혀지기 마련이고 숨기려 한다고 숨겨지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이날 콘퍼런스에서는 일본 근대사 전문가인 하야시 히로후미(林博史) 간토가쿠인(關東學院)대 교수도 참석해 일본군의 전시 성폭력 문제를 고발했다.

하야시 교수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와 사료를 통해 살펴본 국가 책임’이라는 제목의 주제 발표에서 “고노(河野) 담화가 발표된 1993년 이후 위안부 문제와 관련된 문서가 500개 이상 발견됐다”면서 “그러나 일본 정부는 이 문서들이 위안부와 관련됐다는 사실을 인정하지 않고 있다”고 비판했다.

하야시 교수는 이어 “고노 담화는 재조사 또는 경시해야 할 대상이 아니라 일제하 군의 책임을 분명하게 규정하는 데 필요한 방향을 설정하는데 이용해야 한다”면서 “이는 피해 여성의 인권과 존엄성 회복을 위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1993년 발표된 ‘고노 담화’는 일본군 위안부 강제 동원을 인정하고 사죄하는 내용을 담았으며, 최근 일본 내 일부에서는 이를 수정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퍼트리샤 비재르 셀러즈 국제형사재판소(ICC) 특별자문관도 ‘국제형사법하에서 노예제’라는 주제 발표에서 “노예매매금지법은 아시아 태평양전쟁 중 행해진 일본군 성노예 범죄에도 적용할 수 있다”면서 “이 범죄에 대해서는 모든 국가에 예외 없이 국가책임을 적용할 수 있다”며 일본 정부의 책임을 추궁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